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 있는 하버드대학교 캠퍼스를 학생들이 걸어가고 있다. [사진=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하버드대학교 때리기’가 계속되고 있다.
하버드대가 정부의 반(反)유대주의 근절 등 정책 변경 요구에 맞서 공개적으로 반기를 들자, 트럼프 대통령은 보조금 삭감과 면세 지위 박탈 카드를 꺼내든 데 이어 약 1조4000억원의 지원금을 추가로 삭감할 계획을 세웠다.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0일(현지시간) 트럼프 행정부가 하버드대의 보건 연구에 대한 지원자금 중 추가로 10억 달러(약 1조4180억원)를 철회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미 정부는 캠퍼스 내 유대인 혐오 활동 근절 등 교칙 변경 요구를 공개적으로 거부한 하버드대에 격분한 것으로 전해졌다. 10억 달러의 지원금을 철회할 경우 하버드대에도 직접적인 타격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대가 지난 14일 미국 대학 중에서는 처음으로 트럼프 행정부의 요구를 거부하자 270만 달러(약 38억원) 규모의 국토안보부 보조금을 취소했다.
이와는 별개로 수년간 나눠 지급하는 22억 달러(약 3조1200억원) 규모의 연방 보조금을 동결하기로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하버드대를 겨냥해 “면세 지위는 전적으로 공공의 이익에 따른 행동에 달렸다는 점을 기억하라”고 경고했다.
특히 그는 “만약 하버드대가 정치적이고 이념적이며 테러리스트의 영감을 받거나 (테러리스트가) 지지하는 질병을 계속 추진한다면 면세 지위를 잃고 정치 단체로 세금이 매겨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이런 추가 조치 배경에는 하버드대가 교칙 변경 요구 공문까지 공개하면서 반대 입장을 표명한 데 대한 분노 때문으로 알려졌다.
당초 트럼프 행정부는 교칙 변경 요구 자체가 비공개로 유지될 것이라고 믿었다는 것이 소식통의 전언이다.
하버드대 측은 교칙 변경을 요구하는 공문에 비공개라는 표시가 없었고, 비밀 유지에 대해서도 양측의 합의가 없었다는 입장이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하버드대는 허세를 부릴 게 아니라 유대인 학생의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며 “백악관은 대화에 열려있지만 하버드대는 중대한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앨런 가버 하버드대 총장은 “정부의 요구 중 일부는 반유대주의와 관련이 있지만 대부분은 정부의 직접적인 규제로 해석될 수 있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