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왼쪽)이 23일 서울 영등포구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ESG금융추진단 5차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금융위원회]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한국은 제조업 비중이 높아 국내외 경제 전반의 불확실성과 주요국 동향을 살피면서 지속가능성 공시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 부위원장은 23일 서울 영등포구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ESG(환경·사회·투명 경영)금융추진단 제5차 회의’에 참석해 이처럼 말했다. 지속가능성 공시에 대한 국내 산업계의 부담이 크므로 관련 논의를 이어가되 신중하게 결정하자는 취지다.
이날 회의에서는 유럽연합(EU)의 지속가능성 관련 규제 완화 등 주요국 동향을 살피고 지속가능성 공시기준과 관련해 논의했다.
우선 EU가 기업들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지난 2월 발표한 지속가능성 관련 규제 완화안 ‘옴니버스 패키지’가 언급됐다. 또한 일본이 지난달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공시기준 기반 최종 공시기준을 결정한 사례도 공유됐다.
김 부위원장은 “EU를 비롯한 주요국에서 지속가능성 공시에 대한 논의가 진전되고 있지만 아직 변동 가능성이 있다”며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한국 산업구조의 특징을 고려할 때, 주요국 동향을 좀 더 봐가며 결정이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국제적 정합성 △기업 수용가능성 △정보 유용성 등 측면에서 공시기준과 로드맵 추진 관련 사안도 논의됐다. 지속가능성 공시는 연결기준으로 이뤄지도록 하되, 재무적 중요도가 떨어지는 자회사는 제외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는 점도 소개됐다.
금융위 관계자는 “향후 관계기관과 주요국 동향을 살피고 기업 준비상황 등을 검토해 지속가능성 공시를 원활하게 추진할 방침”이라며 “또한 EU의 역외기업에 대한 공시 의무화가 2029년으로 예정된 점을 고려해 기업들의 최초 공시 시행 시기를 검토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김 부위원장은 23일 서울 영등포구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ESG(환경·사회·투명 경영)금융추진단 제5차 회의’에 참석해 이처럼 말했다. 지속가능성 공시에 대한 국내 산업계의 부담이 크므로 관련 논의를 이어가되 신중하게 결정하자는 취지다.
이날 회의에서는 유럽연합(EU)의 지속가능성 관련 규제 완화 등 주요국 동향을 살피고 지속가능성 공시기준과 관련해 논의했다.
우선 EU가 기업들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지난 2월 발표한 지속가능성 관련 규제 완화안 ‘옴니버스 패키지’가 언급됐다. 또한 일본이 지난달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공시기준 기반 최종 공시기준을 결정한 사례도 공유됐다.
아울러 △국제적 정합성 △기업 수용가능성 △정보 유용성 등 측면에서 공시기준과 로드맵 추진 관련 사안도 논의됐다. 지속가능성 공시는 연결기준으로 이뤄지도록 하되, 재무적 중요도가 떨어지는 자회사는 제외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는 점도 소개됐다.
금융위 관계자는 “향후 관계기관과 주요국 동향을 살피고 기업 준비상황 등을 검토해 지속가능성 공시를 원활하게 추진할 방침”이라며 “또한 EU의 역외기업에 대한 공시 의무화가 2029년으로 예정된 점을 고려해 기업들의 최초 공시 시행 시기를 검토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