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경제 투톱 방미..."상호윈윈 협의 토대 구축...한·미 동맹 강화 위한 논의"

  • 안덕근 산업장관, 출국에 앞서 "무역불균형·조선·에너지 논의 예정"

  • 최상목 부총리, 전날 먼저 미국행…美 대응 위해 8개 관계부처 출동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오른쪽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안보전략 태스크포스TF 회의에 참석해 대화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오른쪽)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안보전략 태스크포스(TF) 회의에 참석해 대화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 이어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4일(현지시간) 한·미 경제·통상 수장이 참여하는 ‘2+2 통상 협의’에 참석하기 위해 미국 출장길에 올랐다. 이번 출장에 8개 관계 부처 합동 대표단도 동행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농식품 수입 규제 등 비관세 장벽 이슈 등에 적극 대응할 방침이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23일 오전 인천국제공항에서 출국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상호 윈윈(win-win)할 수 있는 협의를 위한 토대를 구축하고자 한다"며 "차분하고 신중하게 협상에 임하겠다"고 말했다.

안 장관은 이번 2+2 협의 목표로 무역 불균형 문제 해결과 한·미 간 조선·에너지 산업 협력을 꼽았다. 안 장관은 "무역 불균형 문제와 조선 산업 협력, 에너지 협력 등 산업 협력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라며 "양국이 향후 이 협력을 이어갈 수 있고 향후 리딩할(이끌어갈) 수 있는 협의를 위한 토대를 구축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자동차 분야와 관련해서는 신속하게 해결책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안 장관은 "지금 당장 25% 품목별 관세가 부과돼 산업계가 큰 피해를 입고 있는 자동차 분야에 대해 (2+2 협의에서) 최대한 신속하게 해결책을 마련하도록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미국이 외국산 자동차 운반선에 수수료를 부과하기로 한 데 대해선 "무역대표부(USTR)와 협의할 예정"이라며 "양국 간 교역에서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는 원만한 해결책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안 장관은 이번 한·미 협상에서 앞선 일본 사례와 같이 트럼프 대통령이 '깜짝 등장'하거나 방위비 분담 의제를 미국 측이 꺼냈을 때 대안이 있느냐는 질문에 "일본 상황을 잘 알고 있고 (협의에서 다룰) 가능성에 대해 열어놓고 대비하고 있다"고 답했다.

안 장관은 2+2 통상 협의에 이어 제이미슨 그리어 USTR 대표와 개별 협의도 진행할 예정이다. 안 장관은 "그동안 실무 차원에서 협의하면서 비관세 문제에 대해 협의해 왔는데 이번 협상에서 보다 내실 있는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조기 대선 국면에서 차기 정부에도 협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안 장관은 "지금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시간이 필요하면 다음 정부와 잘 협의해서 바통을 이어서 산업계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한편 전날 미국으로 출국한 최 부총리는 한·미 동맹을 새롭게 다지는 논의에 물꼬를 트고 돌아오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최 부총리와 안 장관은 한국시간으로 24일 오후 9시 워싱턴DC에서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과 그리어 USTR 대표를 만나 관세 협의를 벌인다.

이번 협의를 위해 기재부와 산업부는 물론 외교부, 농림축산식품부, 환경부, 복지부 등 8개 관계 부처 관계자도 함께 출장길에 올랐다. 정부 관계자는 "협의 의제가 명확히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의제에 오를 가능성이 있는 부처 관계자들이 출장에 동행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번 대표단에 미국 측이 요구할 가능성이 큰 '방위비 증액'과 관련한 담당자로는 참여하지 않는다. 방위비 분담금 증액은 통상 협상과 떼어내 별개로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