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마이크로소프트사(MS)의 윈도우10 기술지원 종료 대응을 위한 ‘윈도우10 기술지원 종료대응 종합상황실’을 운영한다고 23일 밝혔다.
MS 윈도우10은 올해 10월 14일부터 기술지원이 종료된다. 종료 이후부터는 무료로 제공받던 신규 보안패치를 받을 수 없다. 앞으로 신규 악성코드 감염 등 사이버 위협에 노출될 우려가 있어 윈도우11로의 업데이트가 권장된다. 이는 MS 누리집에서 무료로 받을 수 있다.
MS는 기술지원 종료 후 윈도우10 보안패치를 일정 기간 동안 유료로 제공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윈도우10 기술지원 종료대응 종합상황실을 통해 윈도우10 기술지원 종료 후 신규 취약점을 악용하여 발생하는 사이버 위협을 집중 모니터링하고 신규 악성코드 출현 시 전용백신 개발·보급 등 피해확산 방지에 나설 계획이다.
종합상황실은 종합대책반(유관기관 협력·대외홍보), 기술지원반(전용백신 개발·배포), 상황반(상황 모니터링·사고대응·상황 전파 등), 민원반(윈도우10 종료 관련 전문 상담 서비스)으로 구성된다.
윈도우11 업데이트 필요성에 대한 대국민 홍보 강화, 주요 정보통신 기반시설의 OS 현황 점검 실시 등도 함께 추진한다.
교육부는 전국 시․도 교육청에 관내 학교를 대상으로 윈도우10 기술지원 종료 안내문을 발송하도록 요청하여 학생, 학부모, 교사에게 윈도우10의 보안 업데이트 중단을 알리도록 할 예정이다.
MS는 지난 3월부터 윈도우10 이용자의 컴퓨터를 통해 윈도우11 업데이트 안내를 진행해 왔다. 5∼6월 중에는 네이버, 쿠팡, 하이마트 등과 함께 컴퓨터 구매 프로모션을 진행하며 윈도우11의 최소사양을 충족하는 PC 구매를 지원할 계획이다.
윈도우11 업데이트 과정에서 문의 사항이 있는 경우 한국인터넷진흥원(118 또는 보호나라 누리집), 카카오톡 보호나라 채널 챗봇문의), 마이크로소프트 고객센터를 통해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최우혁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윈도우10 기술지원 종료에 따라 보안 취약점을 이용한 제로데이 공격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정부는 종합상황실을 중심으로 개인과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해 나가겠다"며 "개인과 기업도 윈도우11으로 업데이트를 하는 등 보안에 유의해 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