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2의 딥시크 충격’을 막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에 대한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인공지능(AI) 컴퓨팅 인프라 확충을 위해서는 그래픽처리장치(GPU) 1만 장 확보가 급선무라는 입장이다.
23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는 오전 전체회의를 열고, 과기정통부를 대상으로 한 2025년도 제1회 추경 예산안을 논의했다. 이번 추경에는 AI 인프라 지원을 위한 1조8000억원이 편성돼 그 적정성과 운영 방향을 중심으로 검토가 이뤄졌다.
이날 회의에 출석한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우선 GPU를 구매해 데이터센터에 투입하겠다"면서 내년 국가 AI컴퓨팅센터 부지가 마련되면 전력 등 자원을 집중해 다시 활용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앞당길 계획”이라고 추경을 제안했다.
이어 그는 “GPU 1만 장과 임대분 약 2000장이면 현재 가용 데이터센터에 배치하고, 필요한 대학·출연연·기업 등에 제공하기에 적절한 규모”라고 설명했다.
유 장관은 “지난해 9월 국가 AI위원회 출범 당시, 2027년까지 민간투자 65조 원 유도 및 정부의 GPU 3만 장 확보가 원안이었다”며 “AI 기술 경쟁이 급속도로 전개되는 지금, 선제적 GPU 확보가 필수”라고 강조했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올해 전체 본예산은 기존 25조2373억 원에서 1조8451억 원 늘어난 27조825억 원으로 편성됐다. 이 가운데 1조8000억 원은 AI 분야 추경 예산으로, GPU 1만 장 확보(1조4600억원)와 민간 보유 GPU 2600장 임차·활용(1723억원)에 쓰일 예정이다.
정부는 이번 추경을 계기로 국가 AI 역량 강화 방안을 본격적으로 이행한다는 방침이다. 최고급 AI 해외 인재 유치와 자체 AI 모델 개발 등 AI 연구 생태계 조성에도 힘을 싣는다. 연구 생태계 조성 예산은 약 50억원, 자체 AI 모델 개발 프로젝트에는 2000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유 장관은 “해외 최고급 AI 연구자를 유치해 세계적 수준의 석·박사급 인재를 육성하고, AI 혁신펀드를 조성해 국내 AI 기업과 딥테크 기술의 사업화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오는 24일 과기정통부는 예산 감·증액을 심사하는 예산안조정소위원회(예산소위)와 전체회의를 통해 추경 심의를 받을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