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벤처기업부는 14일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이런 내용이 담긴 '미국 관세 대응 중소기업 추가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중기부에 따르면 올해 중소기업 1분기 수출실적은 270억달러로 역대 1분기 기준 두 번째로 높은 실적을 기록했지만 25% 관세가 부된 철강과 알루미늄의 대미 수출 실적은 각각 17.8%, 7.6% 감소했다.
이에 정부는 글로벌 통상 리스크에 따른 경영애로 지원을 위해 4000억원 규모의 긴급 자금을 추가 공급하고, 4조2000억원을 '위기극복 특례보증'도 신설해 운영한다는 방침을 제시했다.
수출시장을 다변화하기 위해 신시장 진출 자금 1000억원을 추가한다. 미국 관세 조치에 영향을 크게 받는 주요 품목을 중심으로 해외 전시회 참가 지원을 확대한다.
수출애로 신고센터의 관세 애로 상담 기능도 강화한다. 일대일 전담관제를 도입해 밀착 관리하고 전국 15개 중소기업 수출애로 신고센터와 관세청 6개 본부, 직할 세관을 핫라인으로 연결해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수출 규제 전담 대응반 카카오톡 채널 내 '수출관세 인공지능(AI) 챗봇상담' 메뉴 신설 등을 추진하고,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가 구축된 14개 국가별로 해외멘토단을 구성한다.
비관세 장벽으로 적용하는 수출규제 대응을 위해 해외인증 획득 비용 지원 자금 100억원을 추가 공급하고, 수출 생태계 경쟁력 확충을 위해 대·중소기업간 개방형 혁신을 지원하는 '딥테크 밸류업 프로그램'과 후속 매칭을 위한 100억원 규모의 밸류업 펀드를 조성한다.
관세와 관련한 불공정거래 행위를 근절하기 위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원자재 가격 변동 시 이를 분담할 납품대금 연동제 도입 컨설팅·홍보를 강화한다.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이번 대책은 미국 관세가 중소기업 수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수출 중소기업 실태 조사를 바탕으로 마련한 추가지원 방안"이라며 "우리 중소기업 피해를 최소화하고, 나아가 글로벌 시장에서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