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디스플레이는 20일(현지시간)부터 오는 23일까지 대만 타이베이 난강 전시센터에서 열리는 '컴퓨텍스 2025'에서 고객 대상으로 노트북·태블릿·모니터 등 정보기술(IT) OLED 포트폴리오를 공개했다.
이번 전시에서 삼성디스플레이는 차세대 기술인 'UT(Ultra Thin) One'을 첫 공개하고, IT 기기에 최적화된 다양한 저소비전력 솔루션도 선보였다. 'UT One'은 산화물(Oxide) TFT 기술을 적용해 초박형 구조에 IT OLED 패널 최초로 1㎐ 가변주사율이 가능한 차세대 저전력 기술로, 기존 패널과 비교하면 소비전력을 30% 더 줄일 수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현재 충남 아산에 구축 중인 8.6세대 IT OLED 전용라인에 산화물 TFT 공정을 구축해 2026년 양산을 준비하고 있다. 'UT One' 제품은 향후 이 라인에서 생산할 예정이다.
QD-OLED 모니터 대세화에도 나섰다. 이번 전시에서 자발광 모니터 업계 최고 픽셀밀도인 160PPI(1인치당 픽셀 수) 27형 UHD 제품을 전시한다. 최근 글로벌 제조사들이 연이어 27인치 UHD 모델을 출시해 시장의 호평이 이어지고 있으며 올해 자발광 모니터 시장 성장을 이끌 제품으로 손꼽히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도 아직 상용화 전인 220PPI 5K 해상도를 구현한 27인치 제품을 선보인다.
자발광 모니터 최고 주사율인 500㎐의 27인치 QHD 제품과 와이드형 모니터 중 최고 주사율인 '360㎐'의 34인치 Q+ 모니터도 처음 공개했다.
삼성 OLED의 뛰어난 색정확성과 디바이스 간 편차 없는 화질 우수성을 확인할 수 있는 '싱크로마' 전시도 고객들의 호평을 받았다. 싱크로마는 '동기화(Synchronization)'와 '색(Chroma)'의 합성어다. 이번 전시에서 삼성 OLED가 적용된 27인치 모니터, 16인치 노트북, 6.2인치 스마트폰을 LCD 노트북을 겹쳐놓고 컬려 표현력을 비교해 보여줬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삼성전자의 자회사인 로봇 플랫폼 전문기업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이동형 양팔로봇을 활용해 삼성 OLED의 얇고 가벼운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로봇쇼도 준비했다. 로봇이 양손에 OLED와 LCD를 들고, 커다란 원통형 용기 두 개에 각각 OLED와 LCD를 넣고 바람을 불어넣어 18g 초경량의 OLED를 공중으로 날리기도 했다.
이종혁 삼성디스플레이 대형사업부장 겸 IT사업팀장(부사장)은 "현재 IT 시장은 LCD에서 OLED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으며 그 변화를 컴퓨텍스 현장에서 느낄 수 있다"며 "다양한 IT 솔루션으로 고객의 기술적 요구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시장의 변화를 이끌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