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북부 찾은 이재명, 공통 주제는 '노동권 개선'·'포용 정신'(종합)

  • "죽음의 일터가 되는 현실…중대재해처벌법으로 산업재해 줄어"

  • "지속적 성장 유일한 길은 성장 기회와 결과 고루 나누는 것"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20일 경기 의정부 로데오거리에서 열린 유세에서 시민들에게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20일 경기 의정부 로데오거리에서 열린 유세에서 시민들에게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20일 의정부·고양·파주·김포 등 경기 북부 지역에 대한 유세에 나섰다. 이 후보는 이날 유세를 진행하며 공통되게 '노동자를 위한 개선'과 '불평등 해소를 통한 포용 정신'을 강조했다.

먼저 의정부 태조이성계상 앞에서 이 후보는 "먹고 살자고 나간 일터가 죽음의 일터가 되고 있다"며 "비용을 아끼고 더 많은 수익을 내기 위해 필요한 안전 조치·장치도 갖추지 않고 사고가 나서 누군가 죽는다면 책임은 현장의 실무자가 지고 배상은 보험회사가 해준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사람은 욕망의 존재기 때문에 그렇게 하는 사람들을 욕할 사항이 아니다. 이런 사람들을 통제하는 게 사회고 막는 게 정치이자 법"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후보는 "수익을 위해 필요한 조치들을 갖추지 않아 과실로 누군가를 죽거나 심하게 다치게 하는 중대재해에 엄하게 처벌하겠다는 것이 중대재해처벌법"이라며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산업재해율이 가장 높은 우리나라가 그나마 산업재해 사망자가 조금씩 줄었다"고 설명했다.

이 후보는 "사람 목숨보다 돈을 더 귀하게 여기는 사람들을 법과 제도를 통해 엄정히 다스리는 게 나라와 정치, 그리고 정치인이 할 일"이라고 했다.

이어진 고양 유세 현장인 일산문화공원서 이 후보는 "근로감독관의 이름을 노동경찰로 바꿔 근로현장에 대한 상시적인 관리를 해야 한다"며 "산업현장에서 누군가 죽고 다치는 상황이 그만 됐으면 한다"고 말하며 노동 환경에 대한 개선을 다짐했다.

이 후보는 "(중대재해처벌법은) 민주당이 만든 법이 아니고 국민의힘과 합의한 법안"이라며 "국민의힘이 악법이라 주장하는 게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입장을 밝혔다.

또 파주 금릉역 광장에서 이 후보는 "어느새 대한민국이 희망 없는 사회, 가장 먼저 지구에서 사라질 나라가 됐다"며 "제일 큰 이유는 희망이 없기 때문이다. 기회가 부족하니 갈등이 심해지고 다툼이 많아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후보는 "결국 성장이 축소되니 어렵고 갈등이 심해지는 상황"이라며 "모든 국제기구가 이야기하는 지속적인 성장의 유일한 길은 성장의 기회와 결과를 고루 나누는 포용성장"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불평등·불공정을 시정해야 지속적 성장을 위한 길이 생기고 기회가 늘어난다. 그러면 희망이 생기고 남녀노소, 동서남북 갈라져 싸우지 않는다"며 "그런 성장하는 나라를 만들어야 한다. 모두가 희망 있는 세상, 똑같이 일하면 똑같이 대우 받는 정상적인 나라로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마지막 유세 현장인 김포 구래역 문화의거리에서는 "경기도를 남과 북으로 나누는 정책을 왜 펼치는지 모르겠다"며 "전 세계가 광역화를 진행하고 국내에서도 부울경(부산·울산·경남)을 동남권 메가시티로 통합하는데 각종 예산이 줄어드는 재정 손해를 보면서라도 찢겠다는 건가"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경기도를 분리하면 도지사와 국장, 실장 등 관련 직책들이 생긴다"며 "이런 상황으로 이득을 보는 쪽들이 주장한다"고 부연했다.

특히 이 후보는 의정부·파주 등 접경지역에 대해 "특별한 희생을 치른 곳은 특별한 보상을 해준다는 것이 제 정치적 신념"이라며 "경기 북부가 안보를 위해 많은 희생을 치렀다. 법을 개정해 공여지 장기 임대와 교통 인프라 구축 등 정책을 펴나가겠다"며 접경지역에 대한 공약도 함께 제시했다.

한편 이날 경기 북부에서 유세 활동을 마친 이 후보는 오는 21일 인천 지역에서 표심 잡기를 이어갈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