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글이 삼성전자와 손잡고 안드로이드 확장현실(XR) 기반 스마트 안경을 연말에 공개한다. XR 헤드셋을 만드는 중인 양사가 스마트 안경까지 협업을 확대하는 것이다.
구글은 20일(현지시간) 미 캘리포니아주 마운틴뷰에서 연례 개발자 회의(I/O)를 열고, 삼성전자, 젠틀몬스터가 참여한 안드로이드 XR 기반 스마트 안경을 연말에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삼성전자가 스마트 안경의 하드웨어를 제조하고 젠틀몬스터는 안경 디자인을 맡는 식이다.
스마트 안경에는 카메라와 마이크, 스피커가 장착되고 핸드폰과 연동돼 사용자는 핸드폰을 꺼내지 않고도 전화를 받거나 문자를 보낼 수 있게 된다.
구글은 지난 2013년 스마트 안경 제품인 '구글 글래스'를 시범 출시한 적 있으나 성과 부진으로 2015년 단종됐다. 최근 AI 기술력이 향상되면서 구글이 시장 재진입 도전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샤람 이자디 구글 안드로이드 XR 부사장은 "안경을 쓰면 초능력을 얻을 수 있다"며 "AI를 위한 자연스러운 형태인 '제미나이 라이브'의 힘을 당신이 있는 곳으로 가져온다"고 설명했다. 제미나이 라이브는 사람이 앞을 보는 것과 마찬가지로, AI가 실시간으로 영상을 인식해 사람과 대화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한다.
구글에 따르면 카메라, 마이크, 스피커를 탑재한 XR 안경이 휴대전화와 연동돼 주머니에서 휴대전화를 꺼낼 필요 없이 앱에 접근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이용자의 휴대폰과 연결된 스마트 안경은 렌즈에 내장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화면을 표시해주고, 눈앞에 구글 지도를 통해 스마트폰을 확인하지 않고도 길을 찾을 수 있다.
스마트 안경 이외에도 삼성전자와 함께 '프로젝트 무한'이라는 이름으로 개발 중인 헤드셋도 연말 시장에 나온다. 프로젝트 무한은 안드로이드 XR 플랫폼을 최초로 탑재한 헤드셋으로, 지난 1월 미국 새너제이 갤럭시S25 언팩에서 처음 공개된 바 있다.
삼성전자는 구글과의 협업을 통해 갤럭시 스마트폰, 태블릿, 웨어러블 기기 등 기존 모바일 제품군과의 연결성을 앞세워 XR 기반 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갤럭시 생태계에서 축적된 사용자 경험을 XR 기기와 스마트 안경으로 확장해 하드웨어 연동성과 콘텐츠 활용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하드웨어·반도체·플랫폼을 아우르는 기술 역량을 XR 시장에 집중해 성과를 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고 말했다.
구글은 20일(현지시간) 미 캘리포니아주 마운틴뷰에서 연례 개발자 회의(I/O)를 열고, 삼성전자, 젠틀몬스터가 참여한 안드로이드 XR 기반 스마트 안경을 연말에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삼성전자가 스마트 안경의 하드웨어를 제조하고 젠틀몬스터는 안경 디자인을 맡는 식이다.
스마트 안경에는 카메라와 마이크, 스피커가 장착되고 핸드폰과 연동돼 사용자는 핸드폰을 꺼내지 않고도 전화를 받거나 문자를 보낼 수 있게 된다.
구글은 지난 2013년 스마트 안경 제품인 '구글 글래스'를 시범 출시한 적 있으나 성과 부진으로 2015년 단종됐다. 최근 AI 기술력이 향상되면서 구글이 시장 재진입 도전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구글에 따르면 카메라, 마이크, 스피커를 탑재한 XR 안경이 휴대전화와 연동돼 주머니에서 휴대전화를 꺼낼 필요 없이 앱에 접근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이용자의 휴대폰과 연결된 스마트 안경은 렌즈에 내장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화면을 표시해주고, 눈앞에 구글 지도를 통해 스마트폰을 확인하지 않고도 길을 찾을 수 있다.
스마트 안경 이외에도 삼성전자와 함께 '프로젝트 무한'이라는 이름으로 개발 중인 헤드셋도 연말 시장에 나온다. 프로젝트 무한은 안드로이드 XR 플랫폼을 최초로 탑재한 헤드셋으로, 지난 1월 미국 새너제이 갤럭시S25 언팩에서 처음 공개된 바 있다.
삼성전자는 구글과의 협업을 통해 갤럭시 스마트폰, 태블릿, 웨어러블 기기 등 기존 모바일 제품군과의 연결성을 앞세워 XR 기반 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갤럭시 생태계에서 축적된 사용자 경험을 XR 기기와 스마트 안경으로 확장해 하드웨어 연동성과 콘텐츠 활용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하드웨어·반도체·플랫폼을 아우르는 기술 역량을 XR 시장에 집중해 성과를 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