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韓과 협력 의지 강조…"독보적 AI 기술역량 갖춘 국가"

  • 2일 '구글 포 코리아 2025' 행사 개최

구글 포 코리아에서 발표하고 있는 윌슨 화이트Wilson White 구글 아시아태평양 대외정책협력 총괄 부사장 사진구글코리아
구글 포 코리아에서 발표하고 있는 윌슨 화이트(Wilson White) 구글 아시아태평양 대외정책협력 총괄 부사장 [사진=구글코리아]

구글코리아가 한국과의 인공지능(AI) 협력을 강조하며, 향후 AI 혁신 생태계를 조성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윌슨 화이트 구글 아시아태평양 대외정책협력 총괄 부사장은 2일 서울 강남구 조선팰리스 호텔에서 '세계적인 문화강국 및 기술강국 대한민국의 오늘, AI와 함께'를 주제로 '구글 포 코리아 2025' 행사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화이트 부사장은 "대한민국이 AI 시대에 세계를 선도할 수 있는 독보적인 기술 역량과 창의성을 갖춘 국가"라면서 "한국의 강력한 기술 기반과 혁신적인 경제 구조가 AI로 인한 글로벌 변화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AI가 향후 혁신을 촉진하고 창의성을 극대화하는 두 축을 통해 경제 전반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 것으로 기대되며, 구글 역시 이 과정에서 한국과 긴밀히 협력해 나가고자 한다"고 밝혔다.

올해 5회차를 맞이한 '구글 포 코리아'는 구글의 대표 연례 행사로, 한국 사회와 함께 이루고자 하는 구글의 혁신 방향성과 다양한 파트너십 사례를 공유하는 소통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구글은 리서치 역량을 바탕으로 AI 제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마니쉬 굽타 구글 딥마인드 시니어 디렉터는 "AI가 창작과 과학 분야에서 이미 현실을 바꾸고 있다"면서 "구글이 연구 성과를 실제 제품으로 전환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제미나이(Gemini), 프로젝트 아스트라(Project Astra), 알파폴드(AlphaFold) 등 다양한 AI 기술이 일상 속 창의성 확대와 과학적 혁신을 이끌고 있으며, 이를 안전하고 책임감 있게 활용하기 위해 산업, 학계, 정부 간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아울러 구글코리아는 한국 사회의 현실적 문제 해결과 경제적 성과 창출을 위한 구글과 한국 기업의 구체적 협력 사례를 확인할 수 있는 '구글과 대한민국: AI로 여는 창의성과 혁신의 시대' 리포트를 공개했다. 

영국 시장조사 기업 퍼블릭 퍼스트의 자체 연구 및 모델링으로 기반한 본 리포트에 따르면, AI 도구를 사용 중인 한국 대기업의 85%는 AI가 비즈니스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했으며, 전체 기업 중 51%는 AI 도입을 통해 운영 효율성을 개선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또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테크 산업에서 AI를 통해 창출된 1원의 부가가치는 경제 전반에 평균 3.8배 이상의 파급 효과를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도 2024년 기준, 구글의 제품 및 서비스는 한국 내에서 약 18조 원 규모의 경제 활동을 지원하고, 11만 개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등 한국 사회와 산업 전반에 실질적인 경제적 가치를 더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졌다

마지막으로 김경훈 구글코리아 사장은 폐회사를 통해 "AI는 한국 고유의 창의성과 혁신성을 한층 증폭시켜, 사회 전반에 새로운 기회를 열고 한국의 잠재력을 글로벌 무대로 확장시키는 핵심 동력이 될 것"이라며 "구글코리아는 앞으로도 한국의 인재들이 AI 시대를 선도할 수 있도록 교육, 협업, 생태계 조성 등 다양한 방면에서 지속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