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21일부터 최대 55만원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전 국민에게 지급된다. 편의점·프랜차이즈업계는 소비쿠폰이 매출 회복을 앞당겨줄 것이라며 반색했다. 반면 이번에도 사용처에서 제외된 백화점·대형마트업계는 아쉬움 속에 소비 진작에 따른 낙수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 집행을 통해 오는 21일부터 모든 국민에게 1인당 15만~55만원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한다. 애초 정부안의 최대 지급액은 52만원이었지만 지난 4일 국회에서 비수도권과 인구감소지역(농어촌) 거주자에게 각각 3만원, 5만원을 주는 방안을 채택하면서 최대 금액이 늘었다.
소비쿠폰 사용처는 주소지 관할 지방자치단체에 있는 연 매출액이 30억원 이하인 소상공인 사업장이다. 동네 식당과 슈퍼, 전통시장, 프랜차이즈 편의점·빵집·카페·치킨집 등이다. 면 지역 소재 하나로마트도 사용처에 포함됐다. 반면 대형마트와 백화점, 면세점, 대형 전자매장, 온라인 쇼핑몰, 배달 애플리케이션 등에선 쓸 수 없다. 코스트코 같은 창고형 매장과 스타벅스를 비롯한 프랜차이즈 직영점도 제외다.
이렇다 보니 유통가도 희비가 교차한다. 편의점과 치킨을 비롯한 프랜차이즈업계는 환영의 목소리를 냈다.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급격히 쪼그라든 실적을 반등시킬 기회가 될 수 있어서다.
앞서 2020년 긴급재난지원금과 2021년 국민지원금 절반가량이 음식점과 식료품점에서 쓰였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020년 지원금 가운데 24.8%(1조4042억원)는 음식점, 24.2%(1조3772억원)는 마트·식료품점에서 사용됐다. 2021년에도 동네마트·식료품점(28.6%)과 음식점(22.4%) 비중이 높았다. 이곳에서 쓰인 지원금은 각각 2조3897억원, 1조8776억원에 달한다.
이는 소상공인 매출 확대로 이어졌다. 국회 입법조사처 자료를 보면 코로나19가 시작된 2020년 소상공인 카드 매출액은 전년 동기보다 대체로 감소했지만 재난지원금 지급이 이뤄진 같은 해 21~22주(5월 18~31일)에는 2019년보다 매출이 늘었다.
한 편의점업체 관계자는 "오랫동안 소비 침체가 이어지면서 전체 유통업, 특히 소상공인인 가맹점주들 어려움이 많았다"며 "이번 소비쿠폰이 경기를 되살리는 불쏘시개 역할을 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대형마트업계는 다시 한번 사용처에서 빠진 데 아쉬움을 나타냈다. 다만 전 국민에게 지원금이 주어지는 만큼 소비심리 회복을 앞당기고, 이는 장기적으로 대형마트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내다봤다.
대형마트업계 관계자는 "코로나 시절 민생지원금 지원 당시 국민의 소비 여력이 커지면서 대형마트도 간접적인 수혜를 봤다"면서 "이번에도 이 같은 낙수효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