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소재부품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사업’ 중 ‘친환경 재활용 탄소섬유 기반 고성능 열가소성 복합재(CFRTP) 제조 핵심기술 실증 및 기반구축’ 과제에 선정돼 오는 2028년까지 총 115억원(국 80억원, 도 3억원, 시 3억원, 기관 29억원)을 투입한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탄소섬유 제품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자투리 소재와 사용 후 폐기되는 탄소복합재를 재활용 가능한 고성능 복합소재로 다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통해 시는 탄소중립 정책과 폐기물 직매립 금지 등 국내외 환경정책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관련 기술의 국산화를 이끌어낼 계획이다.
또한 재활용 탄소섬유의 전주기 통합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재활용 탄소섬유 기반 열가소성 부직포 및 중간재 제조 장비 △열습환경 신뢰성 평가 장비 △재활용 기반 열가소성 복합재 수지 흐름성 측정 장비 등 총 9종의 첨단 장비를 도입하고, 향후 스마트 제조 전환과 품질 고도화를 함께 추진한다.
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수소에너지와 방산, 친환경 모빌리티 등 고부가가치 산업에 활용 가능한 친환경·경량 소재 개발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 재활용 탄소소재 분야에서 실증과 기업지원의 거점 역할을 수행하며, 탄소소재 국가산단과의 연계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택시호출앱 ‘전주사랑콜’, 서비스 환경 대폭 개선

새롭게 오픈하는 ‘전주사랑콜’ 앱은 배차된 차량의 도착시간을 안내하고, 기존에는 파악하기 어려웠던 목적지로의 이동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어린 자녀의 택시 이용이나 늦은 밤 택시 이용을 불안해하는 사용자를 위해 가족 또는 지인에게 현재 위치와 이동 상황을 전달해 안심하고 택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호출과 민원을 하나의 창구에서 처리하던 것을 민원 전담 창구를 신설해 택시 콜센터와 민원 콜센터로 분리, 이용자들의 불만을 빠르게 수용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선했다.
이와 함께 전주사랑콜 앱 이용자 혜택을 대폭 개편해 기존 앱을 다운로드한 후 자동결제카드를 등록하면 제공하던 3000원의 택시요금 할인쿠폰 금액을 4000원으로 인상했으며, 지급대상자 역시 리뉴얼한 전주사랑콜 앱을 다운로드한 모든 이용자로 확대했다.
여기에 월 5회 이상 이용자에게 지급하던 택시요금 할인쿠폰 대신, 자동결제로 택시를 이용할 때 최대 50만원까지 택시요금의 5%를 마일리지로 적립해주고 택시요금 결제 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전주사랑콜을 자주 이용하는 고객에게 더욱 많은 혜택이 돌아가게 했다.
이와 관련, 쿠폰 사용 기간은 1개월로 자동결제 시 사용할 수 있으며, 마일리지 적립 기간은 12개월로 쿠폰(1000~4000원)으로 교환해 사용할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