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또한 미래 광역도시 도약과 시민 행복을 실현하는 일상의 대전환을 이뤄내 경제도, 산업도 으뜸가는 전주를 만들 계획임을 밝혔다.
우범기 시장은 3일 ‘민선8기 3주년 기자회견’을 열고 “민선8기 지난 3년은 대내외적으로 쉽지 않은 여정이었으나, 위기를 기회로 만들겠다는 굳은 신념으로 전주시민과 함께 과감히 도전하고 혁신하며 완전히 새로운 전주의 백년대계(百年大計)를 다져온 시간이었다”면서 “다시 처음의 마음으로 미래 100년을 바라보며 힘껏 뛰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우 시장은 ‘준비된 변화, 힘차게 뛰는 전주’를 슬로건으로 △도시의 미래를 바꾸는 대담한 도전 △미래 광역도시를 향한 혁신적 도약 △시민행복을 실현하는 일상의 대전환 등 3대 비전과 10대 추진전략을 제시했다.
특히 우 시장은 세계 속에서 성장하는 도시의 미래를 만들기 위해 전주올림픽 유치와 완주·전주 통합이라는 대담한 도전을 이어가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하계올림픽 국내 후보도시로서 전북특별자치도와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올림픽 유치를 위한 특별법 제정과 정부 올림픽 유치 위원회 설치 등 대한민국의 역량을 하나로 결집하는 동시에, 올림픽 범시민 지원위원회 구성과 올림픽 데이런 행사 추진 등 전주의 도전이 대한민국 국민의 희망이 되도록 올림픽 열기를 전국으로 확산시켜 나갈 계획이다.
동시에 우 시장은 지방 소멸의 위기 속에서 도시의 생존이 달린 문제이자 광역도시로 나아갈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인 완주·전주 통합을 이뤄내는 데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이를 위해 전북특별자치도 및 민간단체들과 유기적 협력을 바탕으로 완주군민들이 충분히 납득할 수 있도록 홍보하고, 진정성 있는 대화를 통해 소통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우 시장은 미래 광역도시로 나아가기 위해 종합경기장 부지 조성과 전시컨벤션센터 건립공사 착수, 옛 대한방직 부지개발 및 교도소 이전부지 사전절차 적기 추진 등 광역도시 기반 확충에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전주 고도 지정과 국립 후백제역사문화센터 건립, 전주 부성 복원 정비 등 역사도시 전주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대한민국 문화도시 사업과 대한민국 대표 영화·영상 거점도시 조성 등을 차질 없이 추진해 전주를 세계적인 문화산업의 중심지로 만드는 데도 공을 들일 것임을 피력했다.
이밖에 우 시장은 시민 행복을 실현하는 일상의 대전환을 이루기 위해 정부 기조와 발맞춰 빠르고 강한 민생경제 회복에 총력을 다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전주형 착한 소비자 운동인 함께장터 활성화, 중소기업 육성자금과 퇴직연금 및 내일채움공제 지원 등을 통한 중소기업의 경영안정 도모, 대광법 개정에 따른 정부 광역교통시행계획 적극 대응, 기린대로 BRT 구축 공사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이에 앞서 시는 민선8기 지난 3년 동안 △오랜 난제인 전주종합경기장 철거 △새로운 성장 거점이 될 옛 대한방직 부지개발 △올림픽 국내 후보도시 선정 △대광법 개정을 통한 전주권 대도시권 신설 △대한민국 지방시대 3대 특구 선정 등 전주 대변혁의 큰 꿈을 하나씩 실현해 왔으며, 대한민국 대표 역사문화 관광도시, 글로벌 문화산업도시, 새로운 복지 민관협력모델을 구축한 신바람 복지도시, 청년이 살고 싶은 청년희망도시를 만드는 데 공을 들여왔다.
우범기 시장은 “지방 소멸의 위기를 반전시키고 대한민국 중심 도시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서 내일의 전주는 오늘보다 더 크고 강하게 성장해 나가야 한다”면서 “민선8기 전주시는 앞으로도 위대한 시민 여러분과 함께 전주대변혁의 길을 우직하게 나아가겠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