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7일 정오(현지시간·한국시간 8일 오전 1시)부터 각국에 관세 서한을 발송하겠다고 밝혔다. 또 신흥국 협의체인 브릭스(BRICS)에 동조하는 국가들에는 추가로 1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다. 하지만 행정부 내에서는 협상 시한 연장 가능성도 제기돼 최종 조정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6일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을 통해 “나는 미국의 관세 서한 및 전 세계 여러 국가들과의 (무역) 협정 결과가 7월 7일 월요일 낮 12시(미국 동부시각)부터 발송될 것임을 알리게 되어 기쁘다”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뉴저지주 공항에서 취재진에게 “월요일(7일)에 서한을 발송할 예정이며 12개국이 될 수도 있고, 아마도 15개국이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몇몇 국가들과) 합의를 이뤄왔다. 따라서 우리는 서한(발송)과 몇몇 타결의 조합을 갖고 있으며, 일부 국가와는 협상이 타결됐다”며 “나는 우리가 대부분 국가(와의 협상)를 7월 9일까지 마무리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서한 아니면 합의(a deal)”라고 덧붙였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도 “관세는 8월 1일부터 발효될 것"이라며 “대통령은 지금 당장 관세율과 합의를 설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도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의 교역 파트너 일부에게 ‘너희가 협상을 진전시키지 않으면 너희는 8월 1일에 다시 4월 2일 관세 수준으로 돌아갈 것’이라는 내용의 서한을 보낼 것이다. 그래서 난 우리가 많은 합의를 매우 곧 보게 될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발송할 서한에 품목별 관세를 포함해 전반적인 협상 의제까지 담길지 여부 등 구체적 계획은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발효일이 8월 1일로 설정된 만큼 일부 국가는 서한을 받더라도 발효일까지 추가 협상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로 베선트 재무장관은 “관세는 8월 1일부터 발효되지만, 아직 합의에 근접하지 못한 국가는 그동안 추가 제안을 내놓을 시간이 있다”고 밝혔고,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CBS 인터뷰에서 “시한이 있고, 거의 (합의에) 가까워진 사안들이 있다. 따라서 아마도 이 사안들은 시한을 넘길 수 있다”며 협상 기한 유예를 시사했다.
이에 미국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트럼프 팀이 관세 목표를 다시 옮기고 있다"고 짚었고, 블룸버그는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에서 위협을 통한 압박 전술을 즐겨 사용하기 때문에, 이번 서한이 실제로 발송되는 것인지, 아니면 교역국들에 마지막 양보를 압박하기 위한 심리전인지는 확실치 않다”고 지적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브릭스 정상회의도 겨냥했다. 그는 트루스소셜을 통해 “브릭스의 반미 정책에 동조하는 국가는 어느 곳이든 추가적으로 10%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며 “이 정책에는 예외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에 따르면 브릭스 회원국들은 이날 공동선언문을 통해 관세 인상의 확산이 세계 무역을 위협한다며 미국의 관세 정책을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을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다. 또한 브릭스 정상들은 선언문에서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완전한 감시하에 있는 이란의 평화적 핵시설에 대한 군사 공격을 ‘국제법 위반’이라고 규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