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동화 대전환 위해선 배터리 안전성 강화 필수"...'글로벌 e-모빌리티 포럼' 개최

 

 

한국자동차기자협회KAJA 회장 최대열는 8일 제주신화월드 한라룸에서 ‘2025 전동화 시대로의 대전환’을 주제로 글로벌 e-모빌리티 네트워크 포럼을 개최했다
한국자동차기자협회가 8일 제주신화월드 한라룸에서 개최한 '글로벌 e-모빌리티 네트워크 포럼'에서 주제 발표자와 토론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사진=KAJA]


한국자동차기자협회(KAJA)는 8일 제주신화월드 한라룸에서 '2025 전동화 시대로의 대전환'을 주제로 글로벌 e-모빌리티 네트워크 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9일부터 12일까지 제주신화월드에서 열리는 '제12회 국제e-모빌리티엑스포'의 사전 공식 행사로 진행됐다. 세계e-모빌리티협의회(GEAN)가 주최하고, 국제e-모빌리티엑스포 조직위원회, 한국자동차기자협회, 한국자동차모빌리티안전학회가 공동 주관했다. 

김대환 세계e-모빌리티협의회 회장은 "올해는 전기차 보급 확산과 함께 전동화 시대로의 전환이 더욱 가속하는 중요한 시점"이라며 "정부의 정책 방향, 완성차 업계의 기술 혁신, 글로벌 동향을 한자리에서 공유함으로써 전기차 안전에 대한 국민적 신뢰를 높이고 미래 모빌리티 생태게 구축에 기여하기 위해 이번 포럼을 개최하게 됐다"고 말했다.

포럼 주제 발표는 △전동화 시대, 정부의 e-모빌리티 안전 정책 방향(박용선 국토교통부 자동차정책과장) △현대자동차 배터리·전기차 개발 및 안전 전략(정창호 현대차·기아 기술연구소 배터리성능개발실장) △차세대 e-모빌리티 안전 기술 트렌드(이종욱 한국기술교육대 교수) 순으로 진행됐다.


정부는 친환경 모빌리티 활성화를 위해 전기차 배터리 생애주기 관리를 강화할 예정이다. 박용선 국토교통부 자동차정책과장은 "전기차 생태계 전반의 안전 정착에 초점을 두고 정책을 설계하고 있다"면서 "배터리 제조 단계부터 폐기까지 전주기적 관리 체계를 마련하고, 소비자와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유연한 정책 설계를 통해 실효성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이어 "단지 사고를 예방하는 수준을 넘어 국민들이 전기차를 안심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인식 개선을 돕는 제도를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업계도 배터리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정창호 현대차·기아 기술연구소 배터리성능개발실장은 "현대차그룹은 파워트레인 전동화를 통한 모빌리티의 환경 부담 경감과 동시에 고객들의 업그레이드된 이동 경험을 제공하고자 하는 확고한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면서 "중국산 배터리, 전기차를 포함한 글로벌 경쟁이 격화되는 상황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선 배터리 시스템의 안전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정 실장은 "현대차는 배터리 안전 확보 관점에서 하드웨어·소프트웨어를 아우르는 다중 안전망 구축을 기본 방향성으로 설정하고 있고, 이러한 다중 안전망을 통해 고객 절대 안전을 확보하는 것을 기본으로 배터리 기술의 차별화를 달성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종욱 한국기술교육대 교수는 "e-모빌리티의 핵심 부품인 고전압 배터리 시스템은 에너지 공급과 출력 성능을 담당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동시에 열폭주를 통한 화재와 같은 안전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면서 "배터리 안전성 확보는 e-모빌리티의 기술적 신뢰성과 직결되는 주요 과제가 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최근 기술 개발은 화재 예방부터 발생 후 확산 억제까지 전주기적 안전 강화를 목표로 다층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면서 "예방 단계에서는 BMS(배터리 관리 시스템)를 활용한 이상 감지 및 경고 시스템 뿐만 아니라 배터리 셀 내부 구성의 열적 강화 및 배터리 팩 내부의 확산 방지 기술 등도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패널 토론에서는 하성용 한국자동차모빌리티안전학회장(중부대 교수)을 좌장으로, 오재학 전(前) 한국교통연구원 원장, 이광범 법무법인 세종 고문, 최영석 차지인 대표, 유영준 한국자동차기자협회 고문(카테크 발행인)이 참여했다.

포럼 참가자 명의의 공동선언문 채택도 이어졌다. 공동선언문에는 △정책과 기술 혁신의 연계 △국제 협력과 공동 대응 강화 △지속 가능한 e-모빌리티 생태계 구축 등의 내용이 담겼다.

한편, 세계e-모빌리티협의회는 미국, 중국, 유럽, 아세안 등 28개국의 전기차 관련 협회 및 글로벌 기업 78개 기관으로 구성된 국제 네트워크다. 2016년 3월 '세계전기차협의회'로 출범했으며, 전기차를 넘어 전기 선박, 도심항공교통(UAM) 등으로 모빌리티 전동화가 확산됨에 따라 올해 '세계e-모빌리티협의회'로 명칭을 변경하고 활동 영역을 확대했다. 협의회는 향후 50개국 100여 개 이상의 회원 기관을 유치해 전 세계 e-모빌리티 산업을 선도하는 글로벌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