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글 클라우드가 최근 서울 리전에서 자사의 생성형 인공지능(AI) 제미나이를 서비스하기 시작했다. 이를 통해 데이터 레지던시를 확보하고, 국내 기업들의 AI 처리 작업 속도를 크게 높였다.
구글 클라우드는 8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컨벤션 센터에서 개최한 '구글 클라우드 데이 서울'에서 이같이 밝혔다.
지기성 구글 클라우드 코리아 사장은 "AI가 불러온 혁신의 물결은 더욱 빨라지고 있다"면서 "올해도 AI는 끊임없이 진화하며 기업이 비즈니스를 운영하고, 경쟁하며, 혁신하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2020년 구글 클라우드 서울 리전(서울 리전)을 설립하고, 지난 5년간 한국 기업에 제공하는 컴퓨팅 역량을 지속적으로 확장해왔다. 서울 리전은 국내에 위치한 상호 연결된 대용량 인프라로 구성돼 있고, 서버, 실리콘 칩, 저장 장치, 네트워크 장비 등을 갖추고 있다. 또한 구글 클라우드의 고성능 서비스를 제공하는 물리적 인프라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지 사장은 "지난주 서울 리전에서 제미나이 서비스를 시작한 것은 지속적인 투자의 일환"이라면서 "한국은 구글 클라우드가 중요하게 바라보는 시장이고, 앞으로도 계속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추론에 적합한 AI 하드웨어 혁신도 공개했다. 구글은 7세대 텐서처리장치(TPU)인 아이언우드의 정식 버전을 조만간 출시한 예정이다. 이는 구글 TPU 중 가장 강력하고 뛰어난 성능을 제공하는 에너지 효율적인 모델이다.
지 사장은 "아이언우드의 등장은 AI 발전과 이를 뒷받침하는 인프라에 있어 중요한 변화를 의미한다"면서 "단순한 데이터를 넘어, AI 에이전트가 서로 협력해 인사이트가 담긴 답변을 먼저 검색하고 생성하는 시대가 왔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아이언우드를 통해 국내 개발자와 민간 및 공공 부문 조직이 이뤄낼 AI 혁신이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구글의 소버린 클라우드 전략을 강조했다. '구글 클라우드 데이터 바운더리'를 통해 기업 고객들에게 데이터 경계를 설정하고, 데이터가 저장되고 처리되는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기업들이 데이터를 직접 통제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또한 기업들이 시장이 요구하는 데이터 접근·제어 사항을 충족할 수 있도록 구글 인프라 밖에서 암호화 키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규제 산업에 맞춘 '구글 분산형 클라우드 에어갭'도 소개했다. 이는 엄격한 데이터 보안 및 레지던시 요건을 필요한 기업을 위한 솔루션으로, 구글 클라우드의 특정 서비스를 기업의 데이터센터 내에서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는 기업이 선택한 환경 안에서만 작동하기 때문에 구글 클라우드 리전이나 공용 인터넷에 연결할 필요가 없다. 데이터, 운영, 소프트웨어 등 모든 기능을 한국 내에서 통제할 수 있다.
한편, 이번 행사에선 구글 클라우드와 함께 AI 트랜스포메이션을 이끌고 있는 국내 주요 기업 및 AI 스타트업이 참여해 생성형 AI 활용과 성공 사례를 공유했다.
제미나이 2.5 모델군을 활용하고 있는 뤼튼테크놀로지스가 최근 출시한 '뤼튼 3.0' 서비스를 공유했고, 놀유니버스, LG유플러스, NC AI, 카카오모빌리티, 매스프레소 등이 AI 체험 공간 '제미나이 플레이그라운드'에서 부스를 통해 생성형 AI 협업 사례를 소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