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책사' 나바로, 애플 CEO에 "아이폰 탈중국 속도 느려"

  • "애플 공장이전, 실리콘밸리서 가장 오래 상영 중인 드라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책사’로 불리는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이 7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언론과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책사’로 불리는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이 7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언론과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책사’로 불리는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이 애플 아이폰 생산 시설의 탈중국 속도가 느리다고 비판했다.
 
나바로 고문은 7일(현지시간) 미 경제매체 CNBC와 인터뷰에서 “도널드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공장을 중국 밖으로 옮기는 데 계속해서 더 많은 시간을 요청했다”며 “(애플 공장 이전은) 실리콘밸리에서 가장 오래 상영 중인 드라마”라고 비꼬았다.
 
애플은 아이폰을 대부분 중국에서 생산하고 있다. 미·중 무역전쟁의 여파로 최근에는 인도에서의 생산을 늘리고 있다.
 
나바로 고문은 첨단 제조 기술 및 인공지능(AI)의 발전 등을 거론하며 “쿡 CEO가 아이폰을 (중국이 아닌) 세계 다른 지역과 미국에서 못 만든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다”고 언급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도 지난 5월 “미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이 인도 등 다른 나라가 아닌 미국에서 제조되기를 바란다고 쿡 CEO에게 오래전에 알린 바 있다”며 “그렇지 않으면 애플은 최소 25%의 관세를 내야 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애플이 제조시설을 옮기기 위해선 난관이 적지 않다.
 
웨드부시의 댄 아이브스 애널리스트는 애플이 미국에서 아이폰을 만들 경우 높은 제조비용으로 현재 1000달러인 가격이 3500달러로 3배 이상 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시장조사업체 캐널리스 자료에 따르면 지난 4월 미국으로 출하된 인도산 아이폰은 300만대로 작년 동월 대비 76% 증가했다. 반면 중국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출된 아이폰은 90만대로 76% 감소했다.
 
올해 초만 해도 미국으로 수출된 인도산 아이폰의 비중은 중국산의 절반 정도에 그쳤지만, 3월 들어 인도산 아이폰이 중국산을 넘어선 데 이어 지난 4월에는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