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통상자원부는 15일 호남권에 2.3GW(기가와트)의 물량에 대해 계통 접속을 실시할 구체적인 일정을 발표했다.
현재 호남권과 강원·경북 동해안 등은 발전설비에 비해 전력망이 부족한 상황이다. 발전사업자는 신규 발전허가를 받더라도 전력망 보강 시점 이후에나 계통 접속이 가능하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전력망 보강이 시급한데 전력망 건설에는 물리적인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단기간 내 해결하는 데 있어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해당 물량들을 발전수요자에게 배분해 재생에너지의 조기 계통 진입을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허수사업자 회수 물량인 0.4GW는 이번 추진 일정 안내를 시작으로 이달 말까지 기존 접속대기 중인 사업자에게 배분을 완료한다.
다음 달에는 잔여용량을 한국전력공사와 허가기관 누리집 등을 통해 안내하고 발전허가를 받았으나 아직 망 이용계약을 체결하지 않은 사업자와 신규 발전사업 희망자에게 배분한다.
이어 9월까지 전국의 허수사업자 회수물량을 추가로 확보한 후 10월부터는 전국을 대상으로 배분할 계획이다.
배전단 유연접속 물량도 7월 일정 안내 절차를 거쳐 8월 중 희망 사업자를 모집하고 호남권 배분 절차를 마무리할 방침이다. 이어 9월에는 전국의 배전단 유연접속 가능 물량을 확정짓고 10월부터는 전국을 대상으로 배분을 진행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대책은 송전망 부족 상황에서도 계통 접속을 진행할 수 있는 조치로서 각 제도 세부내용에 대한 사업희망자·허가권자(중앙·지자체) 등의 제도 이해도가 매우 중요하다"며 "이에 7월 중 발전사업자·지역주민·지자체 등을 대상으로 제도 설명회를 개최하고, 제도 이해와 참여를 유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