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P 격노설'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 특검 두 번째 소환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정권 시절 대통령실로부터 ‘VIP 격노설’을 전달받은 것으로 지목된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이 17일 조은석 특별검사팀에 다시 출석했다.
 
김 전 사령관은 이날 오전 10시 25분께 서울 서초구 특검 사무실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했다. 혐의는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다. 지난 7일 첫 소환 조사에서 약 12시간 조사를 받은 데 이어 이번이 두 번째 출석이다. 그는 취재진의 질문에 아무 답변도 하지 않은 채 곧장 조사실로 향했다.
 
김 전 사령관은 2023년 7~8월 고(故) 채수근 해병대 상병 순직 사건 당시, 초동수사를 지휘한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에게 대통령실의 격노 사실을 전달하는 등 외압 과정에 관여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특검은 김 전 사령관을 VIP 격노설의 실체를 밝힐 핵심 인물로 보고 있다.
 
VIP 격노설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같은 해 7월 31일 오전 11시 대통령 주재 회의에서 해병대 초동조사 결과를 보고받은 뒤 “이런 일로 사단장을 처벌하면 누가 사단장을 하겠느냐”며 격분했다는 내용이다. 이후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이 경찰 이첩 보류와 언론 브리핑을 지시했다는 정황도 함께 제기됐다.
 
박정훈 대령은 김 전 사령관이 같은 날 오후 5시께 자신을 사령관 집무실로 불러 윤 전 대통령의 격노 사실을 전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김 전 사령관은 이 같은 진술을 부인해왔다. 다만 김 전 사령관이 그날 오전 11시 57분 이 전 장관과 통화하고, 오후 5시께 임기훈 당시 대통령실 국방비서관과 3분간 통화한 사실은 공개된 통화기록을 통해 확인된 바 있다.
 
VIP 격노설과 관련해 당시 회의에 참석했던 복수의 고위 인사들이 “윤 전 대통령이 보고를 받고 격노하는 모습을 직접 봤다”고 진술한 상황에서, 김 전 사령관이 기존 입장을 바꿀 가능성도 제기된다.
 
특검은 김 전 사령관을 상대로 윤 전 대통령 발언의 진위와 전달 경로를 집중 추궁하고 있으며, 공수처로부터 이첩된 모해위증 혐의도 함께 수사 중이다.
 
한편 특검은 이날 오전 10시께 이충면 전 대통령실 외교비서관도 참고인 신분으로 다시 불러 조사했다. 이 전 비서관은 VIP 격노설이 제기된 외교안보 수석비서관회의 참석자 중 한 명으로, 첫 조사에서 “윤 전 대통령이 국방비서관의 보고를 받고 화를 내는 모습을 봤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