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검팀은 20일 김 장관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하고 있다. 이날 오전 9시 46분께 특검팀 사무실이 위치한 서울고검 청사에 출석한 김 장관은 비상계엄 직전 국무회의 참석 경위 등을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아무런 답을 하지 않은채 고검 청사에 들어갔다.
김 장관은 윤 전 대통령이 지난 12월 3일 계엄 선포 당일 자신의 계획을 알리기 위해 최초로 불렀던 5명의 국무위원 중 한명으로 이날 특검팀은 김 장관을 상대로 계엄 선포 전후 열린 국무회의 상황에 관해 물을 것으로 보인다.
앞서 김 장관은 지난 12월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에서 조사를 받을 당시 계엄 당일 상황에 대해 진술을 한 바 있다. 당시 김 장관은 검찰에 계엄 당일 오후 8시 6분께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용산으로 가능한 한 빨리 들어와라'는 전화를 받고 대통령실로 들어갔다고 진술한 바 있다.
또 김 장관은 당시 자리에 있었던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은 계엄 선포에 대해 반대 입장 등을 밝히지 않은 채 가만히 있었다고 진술했다.
김 장관 소환 전날 특검팀은 조태열 전 외교부 장관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국무회의 상황을 조사했다.
특검은 최근 윤석열 정부 국무위원들을 연달아 소환조사를 벌이고 있다. 특검은 당시 국무위원들의 진술을 바탕으로 윤 전 대통령의 사후 허위 계엄 선포문 작성·폐기 혐의 공범으로 지목된 한 전 총리를 비롯해 언론사 단전·단수 지시 의혹을 받는 이 전 장관 등을 조만간 소환조사 할 것으로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