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남 산청군이 기록적인 폭우로 멈춰섰다. 사흘간 이어진 집중호우로 산청군 일대는 그야말로 재난의 현장이 됐다.
사망 10명, 실종 4명, 중상 2명. 산청군은 이번 재난을 군 단위의 위기가 아닌 지역 전체의 참사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번 폭우는 그 자체로 통계의 경계를 넘어섰다. 산청군 시천면의 강우량은 나흘간 798mm에 달했다.
이는 산청 연간 강우량의 절반을 나흘 만에 쏟아부은 셈이다.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21일 실국본부장 회의에서 "이제는 기존 재난 대응으로는 인명과 재산피해를 막을 수 없는 시대"라며 재난 대응 체계의 전면 재정비를 지시했다.
경남도는 이날 실국본부장 회의에서 실종자 수색과 응급 복구를 최우선 과제로 지시했다.
"가족들이 간절하게 기다리는 만큼 소방본부를 중심으로 가용 자원을 모두 동원하라"는 박 도지사의 주문에 따라, 산청군 현장에는 전국의 구조인력과 중장비가 집결하고 있다.
하지만 높게 쌓인 토사와 부유물, 바위에 가로막혀 수색은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사흘째 수색 중인 소방당국은 "실종자 수색이 어려운 만큼 범위를 넓히고 있지만, 중장비 작업에도 시간이 걸리고 있다"고 토로했다.
재산 피해도 심각하다. 산청군이 집계한 잠정 피해액은 1350억원.
공공시설 피해가 950억원, 사유시설 피해가 400억원에 달한다. 농경지 침수 면적은 320헥타르. 이 중 벼 피해가 180헥타르, 딸기 등 원예시설 피해가 89헥타르에 이른다.
비닐하우스는 산처럼 쌓인 토사에 파묻혔고, 벼농사도 대부분 손을 쓸 수 없는 상황이다.
주택과 건물 피해도 크다. 주택 18동이 침수·파손됐고, 식당 1곳이 붕괴됐다.
가축 피해도 발생해 소 2마리, 닭 2마리, 양봉 200군이 피해를 입었다.
현재까지 38개 마을 1344세대가 단전 상태이고, 이재민도 360가구 517명이 여전히 대피소 생활을 이어가고 있다. 산청군은 선비문화연구원 등 28개 대피소를 운영하며 생필품과 급식을 지원하고 있다.

산청군에 10억원, 합천·의령군에 각 3억원, 진주·창녕·함양·함안군에 각 1억원씩 총 20억 원의 특별조정교부금을 긴급 지원했다. 이번 예산은 유실된 도로와 하천, 농업시설 복구 등에 우선 투입된다.
박완수 지사는 “지금의 피해보다 더 우려되는 건 2차 피해”라며 “태풍과 추가 폭우가 예보된 만큼 응급 복구를 최대한 신속히 마무리하라”고 지시했다.
산청군은 "현장 복구와 수색을 동시에 진행하고 있지만, 피해 규모가 커 시간은 더 걸릴 것"이라며 "이재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실종자 수색에 전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산청의 복구 작업은 아직 548건 중 8%만 완료된 상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