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상호관세 25% 현실화 우려…제조업·비제조업 모두 부진"

  • 8월 BSI 92.6… 3.5년 연속 악화

  • '내수·수출·투자' 모두 동반 부진

사진한경협
[사진=한경협]
 
오는 8월 1일부터 미국의 25% 상호관세가 현실화될 것을 우려해 수출 제조기업들의 경기심리가 크게 위축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한국경제인협회가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경기실사지수(BSI)를 조사한 결과 올해 8월 BSI 전망치는 기준선 100을 하회한 92.6을 기록했다.

BSI는 100(전분기 대비 변화 없음)을 기준으로 200에 가까울수록 전분기보다 증가(개선)한다는 의견이 많다는 것을, 0에 근접할수록 감소(악화)했다는 의견이 많다는 것을 뜻한다.

7월 BSI 실적치는 90.0로 조사됐다. 2022년 2월(91.5)부터 3년6개월 연속 부진으로 나타나 기업들의 실적 악화 또한 장기간 이어지고 있다.

8월에는 제조업(87.1)과 비제조업(98.3) 모두 부진이 이어질 전망이다. 제조업 BSI(87.1)는 지난해 4월부터 1년5개월 연속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해당 지수가 2개월 연속 80대를 기록한 것은 지난해 12월(89.9) 및 올해 1월(84.2) 전망 이후 7개월 만이다.

제조업 세부 업종(10개) 중에서는 △의약품(125.0) △전자 및 통신장비(111.1) △식음료 및 담배(100.0)를 제외한 섬유·의복 및 가죽·신발(50.0) 등 나머지 7개 업종이 모두 부진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경협은 현재 미국의 관세 압박으로 대미 수출이 감소하고 있는 상황에서 8월 1일부터 25%의 상호관세마저 현실화될 것을 우려해 수출 제조기업들의 경기심리가 크게 위축되는 상황이라고 내다봤다.

현재 호조 전망을 보인 의약품, 반도체에 대해서도 이미 트럼프 대통령이 품목별 관세 부과를 예고한 상황이라, 기업들이 '밀어내기 수출'에 나설 것으로 예상해 경기 전망이 일시적으로 개선된 것이라고 판단했다. 

비제조업 세부 업종(7개) 중에는 △여가·숙박 및 외식(123.1) △도․소매(110.6)가 호조 전망을 보였다. 기준선 100에 걸친 △전기ˑ가스ˑ수도(100.0)를 제외한 나머지 4개 업종은 부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8월 조사 부문별 BSI는 모두 부정적으로 전망됐다. 내수(91.7)·수출(92.3)·투자(92.3)는 2024년 7월 이후 1년2개월 연속 동반 부진이 이어졌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트럼프발 관세 폭탄과 극심한 수요 부진이 우리 경제와 기업들을 매우 어려운 상황으로 몰아가고 있다"며 "확장적 재정정책 기조를 유지해 내수 급랭을 방지하고, 통상환경 개선을 위해 정부 노력을 보다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