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美관세 협상 선점 위해 1000억 달러 투자 카드 제시

  • 삼성·SK·현대차·LG 등 4대 그룹 중심 투자 계획 취합

  • 日 판박이 압박...블룸버그 "대미투자 4000억 제안"

  • 정부, 확대 해석 경계..."조속한 시일 내 협상 일정 잡을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UPI·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UPI·연합뉴스]
한국 정부가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기 위해 국내 기업들과 함께 1000억 달러 이상 현지 투자를 제안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25일(현지시간) 개최할 예정이었던 '한·미 고위급 2+2 통상협상'이 미국 측 요청으로 돌연 연기되면서 협상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었다.

24일 통상업계에 따르면 한국 통상 대표단은 이번 '한·미 고위급 2+2 통상협상'에서 삼성과 SK, 현대차, LG 등 4대 그룹을 중심으로 확보한 투자 계획을 미국 정부 측에 제안할 방침이었다. 

현재까지 기업들 측에서 약속받은 투자 금액은 1000억 달러에 이르며 이는 순수 민간 투자에 한정된 수치다. 정부 조달자금까지 더해지면 제안 금액이 더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 

재계에서는 이번 제안이 일본 대미 투자 규모에는 못 미치지만 일본 경제 규모가 한국과 비교해 2배 넘는 것을 고려하면 결코 적은 금액은 아니라는 평가가 나온다.  

이와 함께 민관 공동 투자펀드 조성도 핵심 전략으로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재정과 정책금융기관이 일부 참여해 투자 여력을 확대하는 방안이 핵심이다.

블룸버그는 이날 미국 협상팀 관계자들을 인용해 "한국이 미국의 자동차 관세를 낮추기 위해 대미 투자펀드 조성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익명을 요구한 소식통은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이 대미 투자 규모로 한국에 4000억 달러를 제안했다고 전했다.

러트닉 장관이 제안했다는 4000억 달러는 미국이 애초 일본에 제시했던 투자액이다. 이후 일본의 대미 투자펀드 규모는 협상 과정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최종 재가를 거치며 5500억 달러 규모로 대폭 늘어난 바 있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방미가 무산된 것과도 연관이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지금까지 미국과 한국이 논의해 온 것으로 알려진 '수백억 달러'와 비교해 미국 측이 요구한 금액은 훨씬 큰 규모이기 때문이다. 

다만 정부에서는 이에 대한 확대 해석을 경계하고 있다. 기재부 관계자는 "오전 9시께 미국 측에서 연기 요청 통보 메일을 받았는데 여러 차례 미안하다는 의사를 밝혔다"며 "조속한 시일 내에 협상 일정을 잡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기재부·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 부처는 이날 보도설명자료를 통해 한·미 관세협상과 관련해 대미 투자 계획 등 구체적인 내용에 대한 보도는 신중을 기해 달라고 요청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