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전문가들 "자동차, 하반기도 험로…반도체는 순항"

  • "반도체 '상저하고'… D램 수요 지속"

  • '관세 직격탄' 자동차, 하반기도 흐림

  • "日보다 관세 1%P만 높아도 주가 타격"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국내 반도체 대표 기업인 SK하이닉스가 2분기 중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한 데 반해 완성차 1위 업체인 현대차는 트럼프 관세에 짓눌려 기대에 못 미치는 성적표를 받아 들었다. 산업계 전문가들은 이 같은 기조가 하반기 이후에도 지속될 공산이 크다고 진단했다. 

안기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전무는 24일 아주경제와의 통화에서 "반도체 시장은 전통적으로 '상저하고'"라며 "인공지능(AI) 반도체에 필수로 들어가는 고대역폭메모리(HBM)를 한국이 사실상 독점하고 있는 가운데 모바일 등 세트 신제품 출시로 일반 D램 수요도 많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HBM에 웨이퍼가 많이 배정돼 일반 D램 공급량이 줄더라도 (HBM의 부가가치가 높아) 오히려 가격 상승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상반기 호실적을 거둔 SK하이닉스는 하반기에도 성장세가 지속될 전망이다. 김웅 나이스신용평가 수석연구원은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의 차기 제품에 탑재될 HBM4(6세대) 샘플이 경쟁사 대비 가장 먼저 출하된 것으로 보이며, 하반기 이후 공급 수량이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부진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는 삼성전자도 AMD 등 고객사향 HBM 판매량 증가로 하반기 턴어라운드가 기대된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는 삼성전자의 3분기 영업이익이 8조3629억원으로 전분기(4조6000억원) 대비 대폭 개선될 것으로 관측했다.

반면 관세 폭탄 영향으로 2분기 고전한 현대차는 하반기에도 계속 관세에 발목이 잡힐 가능성이 높다. 최근 미·일 관세 협상으로 일본 자동차의 관세율이 15%로 인하되면서 가격 경쟁력이 약화할 우려까지 제기되는 상황이다. 다만 현대차는 경쟁사보다 먼저 가격 인상에 나서지는 않겠다는 입장이다.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은 이날 블룸버그TV에 출연해 "현재 독일 자동차는 일본 자동차에 비해 불리해졌다. 독일에 25%의 관세가 부과되기 때문이다. 한국의 현대차도 마찬가지"라고 밝혔다.

황용식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는 "미·일 관세 협상으로 일본 관세율이 가이드라인이 됐다"며 "우리가 일본보다 관세율이 1%포인트라도 높아지면 '한국 자동차 산업이 밀린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주가에 반영될 것"이라고 말했다.

완성차 부진 여파로 자동차 부품업계도 험로가 예상된다. 성호재 한국신용평가 실장은 "자동차 부품사는 전방산업에 대한 협상력이 열악해 완성차 업체의 관세 부담 전가 시 수익성에 부정적 영향이 클 전망"이라며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는 5% 미만의 낮은 영업이익률이 이어지고 있어 관세 부담을 흡수할 여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