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당무감사위원회가 지난 6·3 대선 당시 당 지도부의 '후보 교체 시도'를 불법으로 규정한 가운데 인적 쇄신 필요성을 둘러싼 계파 갈등이 재확산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구 주류는 감사 결과에 대해 "표적 징계"라며 즉각 반발한 반면, '친한(친한동훈)계' 등 혁신파에서는 "당연한 수순"이라는 반응이 나왔다. 대선 패배 이후 소수 야당으로 전락한 채 자중지란을 거듭하는 사이 당 지지율은 이렇다할 반등 계기 없이 곤두박질치는 모양새다.
27일 야권에 따르면 국민의힘 당무감사위가 25일 권영세 전 비상대책위원장과 이양수 전 선거관리위원장에 대해 '당원권 정지 3년' 중징계 청구를 결정한 데 따른 파장이 커지고 있다. 대선을 목전에 둔 지난 5월 당 지도부가 전당대회에서 선출된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의 후보 자격을 한덕수 전 국무총리에게 이양하려 했던 시도가 독단적 불법 행위라는 게 당무위 측 설명이다.
징계 대상에서 제외된 권성동 의원은 발표 직후 페이스북에서 "당무감사위가 결과론적 시각에서 법원의 판단을 넘어선 자의적 해석을 내놓은 것은 초유의 어려움을 겪는 당에 불필요한 짐만 더하는 처사"라며 "저 역시 권영세·이양수 두 분과 함께 징계 회부하라"고 날을 세웠다.
한 TK(대구·경북) 지역 중진 의원은 아주경제와 통화에서 "조기 대선에서 여론조사상 가장 득표율이 높은 후보를 찾았던 대선 당시 지도부가 매도되고 있는 건 사실"이라며 "비하인드 스토리가 있지만, '쌍권'(권영세·권성동)이 당을 위해 적절하게 해야 될 일을 했었다고 본다"고 감쌌다.
이같은 반발에도 윤희숙 혁신위원회에서 사실상 좌초된 인적 청산 불씨가 되살아나면서 내달 22일 예정된 전당대회 구도는 1년 전과 마찬가지로 '친윤 대 반윤'으로 나뉘게 될 전망이다. 한동훈 전 대표가 지난 24일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현재 당권 경쟁에 뛰어든 주자는 김문수·장동혁·안철수·조경태·주진우·양향자·장성민 등 총 7명까지 늘었다.
김문수·장동혁·장성민 등 구 주류 인사들은 윤 전 대통령 탄핵 국면 당시 일선에서 지지층을 엄호했던 전한길씨의 입당을 두둔하고, 인적 쇄신에 회의적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안철수·조경태·양향자 등 혁신파와 대척점을 그리는 상황이다. 다만 당 선거관리위원회가 '당원 80%, 여론조사 20%'의 전당대회 룰을 현행 유지한 만큼 친한계가 포진한 혁신파는 전통 보수 지지층의 결집을 의식한 듯 자체 연대 구체화 작업에 돌입했다.
당내 최다선 조경태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탄핵 반대 당론을 아직까지도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세력들에게 국민의힘을 맡겨서는 안 된다"며 100% 국민 여론조사 방식의 혁신 후보 간 단일화를 제안했다. 조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구 주류를 겨냥해 "특검 대상자는 더 이상 당에 해를 끼쳐서는 안 된다. 해당 행위자들은 즉각 당을 떠나주는 게 좋다"고 지적했다.
당 통합 로드맵과 미래 비전을 두고 겨뤄야 할 전당대회 레이스가 '삿대질 공방'으로 비화하는 사이 각종 여론조사 지지율은 10%대로 내려앉았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21∼23일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전국지표조사(NBS) 결과 국민의힘 지지도는 17%를 기록하며 2020년 9월 미래통합당에서 국민의힘으로 당명을 변경한 이후 최저치를 경신했다.
정권을 잡은 거대 여당이 전방위 특수검사 수사를 통해 보수당을 정조준하고 있음에도 적절히 대처를 하지 못한 데 대한 실망감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조사는 휴대전화 가상번호(100%)를 이용한 전화 면접으로 이뤄졌고, 표본 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1%p다. 응답률은 17.4%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