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브레인 투 코리아' 프로젝트 추진… 해외 인재 유치 박차

  • "국내 유출 방지 대책은 별도 추진"

  • AI·ICT 등 1·2차관실 전 분야에 적용 목표

  • 산업부 'K-테크 비자'처럼 부처 간 협업도 가능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해외 인재를 데려오기 위한 '브레인 투 코리아'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한다. 한국인을 포함한 해외 우수 인재를 국내로 유입하겠다는 취지다. 국내 인재 유출을 막기 위한 프로젝트도 별도로 마련한다. 세종과학펠로우십 등 박사 후 연구원 지원 프로그램을 확대해 국내 우수 인재를 해외에 빼앗기지 않겠다는 의도다.

28일 과기정통부는 해외 인재를 국내 영입하는 '브레인 투 코리아' 계획을 세우고 책임자 선정에 고심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기초과학뿐 아니라 인공지능(AI), 정보통신기술(ITC) 등 1·2차관실에 모두 적용하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브레인 투 코리아는 1·2차관 소속 부서에 모두 적용된다"면서 "9월 국·실장급 인사를 앞두고 해당 정책에 적합한 담당자를 물색 중이며 미래 인재 양성 담당 부서를 중심으로 관련 업무를 확장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브레인 투 코리아'는 과기정통부가  지난달 국정기획위원회에 보고한 안으로 기존에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해 제시한 정책이다. 해외 인재 유치에 중점을 두고 있다. 기존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해 추진됐던 '브레인 풀'은 '브레인 투 코리아'로 흡수된다. 향후 대책에는 해외 인재 유치와 국내 인재 이탈 방지까지 포함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각 산업 분야마다 서로 다른 인재가 필요하다는 점을 감안해 산업통상자원부 등 유관 부처와 협동 프로젝트로 운영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 관계자는 "브레인 투 코리아는 하나의 사업이 아니라 국가 차원의 정책으로 봐야 한다"며 "예컨대 지난해 산업부에서 K-테크 비자 프로그램 나온 것처럼 관계 부처와 함께 합동 프로젝트를 추진해 유관 부처 전체가 해외 인재 유치를 위해 협력하는 형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산업부는 '글로벌 개방 혁신을 위한 첨단산업 해외 인재 유치·활용 전략'을 발표했다. 반도체, 인공지능 등 첨단산업에서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기술 개발을 주도할 수 있는 '글로벌 톱 100' 공대 석·박사 출신 수석 엔지니어급 인재들에게 K-테크 패스를 적용해 비자 심사 기간을 2개월에서 2주로 단축하고 동반 입국 허용 범위를 가사도우미까지로 넓혔다.

'브레인 투 코리아'가 하나의 인재 양성 패키지로 만들어지는 만큼 지금까지 추진되던 인재풀 사업도 이에 맞춰 개편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관계자는 "과학자들로서는 프로젝트 연속성이 가장 중요하다"면서 "신규 사업은 내년에 새롭게 나올 예정이고, 기존에 사업도 유지하면서 새롭게 개편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브레인 투 코리아'는 9월 중 국정위를 통해 최종 발표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