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MW보다 2540달러 비싸지는 G80...현대차 美시장 입지 치명상

제네시스 G80
제네시스 G80[사진=현대차]

한·미 관세 협상 시한이 임박한 가운데 자동차 품목 관세율 25%를 어느 정도 낮출 지가 초미의 관심사다. 앞서 대미 협상을 타결한 일본·유럽연합(EU)의 15%가 벤치마크다. 협상 결과가 기대에 못 미칠 경우 현대차그룹은 미국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을 잃어 톱3 진입은 커녕 기존 점유율이 급락할 수 있다. 
 
29일 현대차그룹이 미국에서 판매하는 주요 차량 가격을 분석한 결과 자동차 관세율 25%가 유지되면 현대차, 기아, 제네시스 등 가격이 BMW, 토요타 등 경쟁 브랜드와 비교해 5% 안팎 비싸진다. 한국과 일본·EU 간 관세율 격차가 10%포인트 벌어진 데 따른 결과다.
 
미국 판매사이트를 참고하면 현대차 산타페 하이브리드 가격은 3만36150달러로, 경쟁 모델인 토요타 4러너(4만1200달러)보다 저렴하지만 관세 25%를 계산해 적용하면 싼타페 가격이 4러너보다 2.4% 높아진다. 기아 대형 SUV 텔루라이드 역시 미국 내 가격은 4만3000만~5만3000달러 선으로 경쟁 모델인 토요타 그랜드 하이랜더(4만3000만~5만4000달러)와 비슷하지만 관세 격차가 현실화하면 3.9% 비싸지는 효과가 있다.
 
지난해 미국에서만 7만대 이상 판매된 제네시스 G80의 현지 가격은 5만7100달러다. 경쟁 차종인 BMW 530i는 5만9900달러로 현재는 제네시스가 가격 경쟁 우위에 있다. 관세 변수를 감안하면 얘기가 달라진다. G80은 7만1375달러, BMW 530i는 6만8835달러로 가격이 역전된다.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인 미국은 한·미·일 브랜드가 접전을 벌이고 있다. 지난해 판매량 기준으로 미국 GM(270만5080대) 1위, 일본 토요타그룹(267만8292대) 2위, 포드(216만9985대) 3위에 이어 현대차그룹(170만8293대)이 처음으로 4위에 올랐다. 톱3 진입을 노리는 현대차 입장에서 관세 부담은 만회하기 어려운 허들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현대차그룹 점유율 하락과 수익성 악화는 국내 부품업계에도 직격탄이 될 전망이다. 지난해 부품업계가 완성차 업체에 납품한 금액 71조6584억원 중 현대차 비중은 64조7321억원으로 90%에 달한다. 부품업계 관계자는 "현대차그룹 실적이 떨어지면 국내 부품 업체들의 매출과 수익성도 동반 악화할 수 밖에 없다"며 "고율의 관세 구조가 고착화되면 자동차 산업은 회복 불능 상태에 빠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