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테슬라는 지난 7월 국내 신차등록 7362대를 기록했다. 전월(6377대)보다 15.4% 증가하며 BMW를 제치고 수입차 1위를 탈환했다. 전년 동월(2680대) 대비로는 174.7% 급증했다.
테슬라의 성장은 지난 4월 출시한 신형 '모델 Y'가 이끌었다. 4년 만에 부분변경으로 돌아온 저가형 모델 Y는 7월에만 6559대가 판매되며 테슬라 전체 판매량의 89.1%를 담당했다.
전기차의 단점으로 꼽혔던 가격 허들이 낮아진 데다 충전 인프라도 빠르게 확장되면서 연비 효율이 높은 전기차의 수요가 높아진 것이 테슬라의 인기 비결이다. 실제 7월 전기차 신차등록은 2만5148대로, 전년 동월(1만92대) 대비 67% 급증했다.
이에 따라 테슬라와의 격차도 1607대로 대폭 좁혀졌다. 지난해 7월 4위를 기록한 BMW(6379대)와의 격차보다 3배 이상 확대되면서 3위 자리도 위태롭다.
업계에서는 제네시스의 부진으로 '하이브리드차(HEV) 부재'를 꼽고 있다. 7월 하이브리드차는 전년 동월(3만202대) 대비 39.8% 증가한 4만2235대를 기록하며 친환경차의 동력원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제네시스는 아직 내연기관 중심으로 사업 중이다.
전기차 등 친환경차 수요가 늘면서 현대차도 제네시스에 하이브리드 도입을 계획 중이다. 앞서 현대차는 지난해 8월 인베스터데이를 통해 제네시스의 전기차 전용 모델을 제외한 전 차종에 하이브리드 옵션을 제공한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현대차 최고경영자(CEO)였던 장재훈 현대차그룹 부회장은 "후륜구동 하이브리드 방식을 채택할 것으로 계획된 제네시스 하이브리드는 별도 기술 개발을 통해 2027년께 출시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