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협상 타결로 '큰 불' 막았지만… 투자 엔진 미국 이전 우려"

  • 경제8단체 '위기의 한국경제 진단과 과제' 세미나

31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경제8단체 공동 위기의 한국경제 진단과 과제 세미나에서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오른쪽 네번째과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31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경제8단체 공동 '위기의 한국경제 진단과 과제' 세미나에서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오른쪽 네번째)과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미 관세 협상 타결로 급한 불은 껐지만 향후 이행 과정에 따라 상황이 달라질 수 있는 만큼 세심한 관심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강태수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는 31일 경제 8단체(한국경제인협회·대한상공회의소·한국경영자총협회·중소기업중앙회·한국중견기업연합회·한국상장회사협의회·한국무역협회·코스닥협회)가 개최한 '위기의 한국경제 진단과 과제' 세미나에서 "바이든 행정부 이후 한국 기업들의 대미 투자는 오늘 발표된 내용까지 총 4500억 달러 규모"라며 "기업 투자라는 성장 엔진이 국내가 아닌 미국으로 이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과의 무역 협상 결과가 국내 입장에서 보면 투자 공동화로 이어질 수 있다"며 "정부가 이 상황을 매우 심각하게 보고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조준모 성균관대 교수도 "단기적으로는 '큰 불은 막았다'고 평가할 수 있다"면서도 "향후 구조적 불균형이나 실질 이행방안에 따라 상황이 달라질 수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대미 투자와 관련해 "미국은 이익 유출 억제와 무위험을 강조해 외국 투자자의 수익 회수가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면서 "미국 측에서 명시한 '미국이 소유하고 통제'의 의미를 면밀히 따져야 한다. 실질적인 자산귀속이 한국이 아닌 미국임을 의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조 교수는 협상 타결로 상호관세와 자동차 관세가 15%로 낮아졌지만, 기존의 무관세 상황과 비교하면 손해를 본 것이라고도 지적했다.

조 교수는 "미국으로부터 수입하는 물품은 여전히 무관세지만, 한국의 대미 수출에는 15% 관세가 부과되는 구조로 확정됐다"며 "자동차 관세는 0%에서 15%가 됐고 일본과 유럽연합(EU)은 2.5%에서 15%가 됐다. 자동차 가격경쟁력에서 손해를 봤다"고 짚었다.

조선업계와 자동차업계는 '노동조합법 제2·3조 개정안(노란봉투법)'에 대한 우려를 내놓았다.

정석주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전무는 "수많은 하청노조의 교섭 요구로 인한 혼란은 외국 선주들에게 보여줬던 생산 안정성과 신뢰도를 저하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주홍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현회 전무는 "최대 시장인 미국의 관세 부과가 있고 중국의 추격이 거세지고 있어 노사 협력을 통한 국내 생산 경쟁력 제고가 절실하다"며 "법 개정으로 산업 경쟁력 약화와 일자리 감소가 초래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