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조전기차 시장, 2034년 43조로 성장… 韓은 규제에 성장 발목"

  • 자동차기자협회, '전기차 컨버전' 심포지엄 개최

  • "정부, 제도적 지원과 안전성 인증체계 마련해야"

  • "유럽·미국은 '문화와 기술 융합 산업'으로 성장"

지난 19일 경기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대한민국 모빌리티산업 심포지엄에서 하성용 한국자동차모빌리티안전학회 회장이 발표하고 있다 사진이성진 기자
지난 19일 경기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대한민국 모빌리티산업 심포지엄'에서 하성용 한국자동차모빌리티안전학회 회장이 발표하고 있다. [사진=이성진 기자]
전 세계에서 '탄소중립' 바람이 거세게 불면서 자동차 산업도 친환경차 중심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이 중 내연기관 차량을 전기차로 개조하는 '전기차 컨버전' 산업이 미래 신산업으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미국, 유럽, 중국 등 해외에서 개조전기차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반면 한국은 각종 규제와 까다로운 인증 절차 등으로 더딘 성장을 보이고 있다. 이에 개조전기차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지원책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자동차기자협회(KAJA)는 오토살롱테크 조직위원회와 지난 19일부터 21일까지 경기 고양 킨텍스 제2전시장 7홀에서 '대한민국 모빌리티산업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전기차 컨버전, 새로운 시장 열린다'를 주제로, 개조전기차의 미래와 정책·기술·산업적 과제를 심도 있게 논의했다.

하성용 한국자동차모빌리티안전학회 회장은 "유럽을 비롯한 주요국은 2030~2040년에 내연기관 차량의 판매를 금지하는 등 탄소중립을 위한 점진적 친환경차 보급 정책을 발표했다"며 "국내 역시 친환경차 보급 목표를 달성하고 온실가스 감축을 가속화하기 위해 전기차 컨버전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와 지자체가 제도적 지원과 안전성 인증 체계를 서둘러 마련한다면 새로운 일자리와 산업 생태계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호경 한국교통안전공단 팀장은 "정부의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민생에 밀접한 화물·승합차에 대한 제도적 출구 전략이 필요하다"며 "전기차 컨버전 기술을 고도화해 튜닝제도를 통한 안전성 인증과 상용화를 지원하고, 내연기관의 전기차 전환 관련 안전성 검증 기술을 개발해 산업화를 촉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튜닝·정기검사 기술을 개발해 운행 단계에서도 전기차의 안전성을 손쉽게 확인하도록 지원하고, 내연기관차 정비 수요 감소로 위기에 놓인 정비업계가 전기차 정비·튜닝 전문업체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해 친환경 시대 경쟁력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김주용 라라클래식 대표는 "전기차 컨버전은 1950년대부터 시도된 분야로, 유럽과 미국에서는 클래식카 보존과 친환경 트렌드를 결합한 '문화와 기술의 융합 산업'으로 성장해왔다"며 "반면 국내 시장은 컨버전 대상 차량의 제한, 부품수급, 규제 등으로 아직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다"고 토로했다.

김 대표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시장 규모는 오는 2034년 310억 달러(한화 약 43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며 "정부와 업계가 협력해 규제를 완화하고 전략적으로 대응한다면 국내도 클래식카 보존과 탄소중립을 동시에 달성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