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본 "집중호우로 2500명 대피"…무안서 사망한 60대 남성 원인 파악 나서

호우 특보가 발효된 3일 오후 전남 무안군 한 아파트 단지 인근 도로가 빗물에 잠겨 있다 사진연합뉴스
호우 특보가 발효된 3일 오후 전남 무안군 한 아파트 단지 인근 도로가 빗물에 잠겨 있다. [사진=연합뉴스]

전날(3일)부터 남부지방에 내린 집중호우로 전남 무안에서 1명이 숨지고, 주민 약 2500명이 임시 대피하는 등 피해가 잇따랐다.

4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이날 오전 4시 30분 기준 이번 집중호우로 부산·광주·충남·전남·경북·경남 등 6개 시·도, 27개 시·군·구에서 1836세대·2523명이 일시 대피했다고 밝혔다. 이 중 1820세대·2498명은 여전히 집으로 돌아가지 못한 채 인근 임시 대피소 등에 머물고 있다. 

특히 전남 무안에서 3일 자정부터 4일 오전 5시까지 289.6㎜ 호우가 발생했다. 시간당 142.1㎜ 극한호우가 쏟아졌고, 산사태 주의보도 발령됐다. 

이번 호우로 인명·시설 피해는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잠정 파악됐지만, 전날 무안에서 60대 남성의 사망사고가 나타나 중대본은 해당 사고가 자연재난에 의한 인명피해인지 여부를 확인 중이다. 앞서 전날 오후 8시께 물살에 휩쓸린 60대 남성이 심정지 상태로 발견된 바 있다. 

행정안전부는 심상치 않은 비가 예보되자 전날 오후 6시에 중대본 1단계를 가동했고, 오후 11시에는 2단계로 상향 조정했다. 

한편 전날 많은 비가 내린 광주·호남권에서는 호우특보가 모두 해제됐다. 다만 중대본은 호우특보가 발효된 경상권과 충북에 피해가 없도록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