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일 네이버에 따르면, 회사는 유럽 지역의 전략적 플랫폼 및 이용자 기반 확보를 위해 스페인 최대 C2C 업체 왈라팝을 인수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네이버는 3억7700만 유로(한화 6045억원)를 투입해, 왈라팝 지분 약 70.5%을 추가 확보한다.
왈라팝은 1900만 명이 넘는 월간 활성이용자 수(MAU)를 보유한 스페인 최대 중고거래 플랫폼으로, 일상 생활용품에서 전자기기, 자동차까지 전 영역을 아우르는 중고 거래를 지원한다. 왈라팝은 중고차, 가전 리퍼 사업 등 버티컬 카테고리로 사업을 확장하고, 특히 중고차 부문에서는 시장 내 버티컬 1위 사업자로 자리매김했다. 결제 수수료·배송 수수료·광고 외에도 프로 셀러 대상 구독 상품 등 수익 다각화를 통해 빠르게 성장 중이고, 이탈리아, 포르투갈 등 남유럽 시장으로 사업 무대를 확장하고 있다.
앞서 네이버는 왈라팝의 성장 가능성에 주목해 2021년(1억1500만 유로)과 2023년(약 7500만 유로)에 걸쳐 약 29.5%의 지분을 확보해왔다. 양사는 보다 본격적인 협업과 시너지 창출을 위해 강력한 연계가 필요하다고 판단, 네이버가 왈라팝의 경영권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앞서 네이버는 지난 2023년 북미 1위 C2C 플랫폼 포시마크를 인수하면서 글로벌 커머스 사업을 강화해왔다. 지난 2022년 네이버는 시각효과 전문기업 자이언트스텝의 지분 절반을 매각해 북미 C2C 기업 '포시마크'의 인수 자금을 마련했다. "적자회사를 비싸게 샀다"는 세간의 평가에도 불구하고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당시 실적 컨퍼런스콜을 통해 "포시마크 투자는 네이버의 5년, 10년 뒤의 의미있는 성장을 이끄는 한 축이 될 것"이라고 답변했다.
최 대표가 장담한 것처럼 포시마크는 지난 1분기 흑자전환했다. 네이버는 인수 후 포시마크의 마케팅 비용 최적화, 영업 비용 효율화에 나서며 수익성을 빠르게 개선했다. 1분기 실적 발표 당시 김남선 네이버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인수계약 체결 당시 약속했던 비용 효율화를 빠르게 달성할 수 있었다"며 "인수 전 700만 달러 적자를 지난해 400만 달러로 줄였고 올해 1분기에는 200만 달러 이상 흑자로 전환했다"고 말했다.
아울러 네이버는 C2C 초기 단계부터 시장에 대한 이해도를 바탕으로 크림, 빈티지시티(일본) 등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번 왈라밥 인수를 계기로 북미, 한국, 일본 등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C2C 사업을 유럽까지 확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네이버는 지난 10여년 동안 유럽 시장에 투자를 진행하며, 본격적인 파트너십을 가져갈 대상을 지속 물색해왔다"며 "왈라팝은 글로벌 빅테크가 전세계 시장을 위협하는 상황에서 스페인의 C2C 시장의 대표자로 자리잡은 강자이며, 네이버는 왈라팝에 기술과 사업 노하우 등을 접목하며, 새로운 사용성을 부가하며 왈라팝의 성장을 한 단계 더 끌어올릴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다양한 상품 구색과 스토리가 풍부한 C2C 기업인 왈라팝 인수를 통해 스페인, 유럽 사용자들의 사용성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갈 수 있을 뿐 아니라, 데이터의 다양성이 경쟁력이 되는 AI 생태계에서 네이버의 경쟁력 또한 한층 더 높이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