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 완성차업계에 따르면 현대차와 GM이 이번 공동개발을 통해 출시하는 차량은 △내연기관과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모두 탑재할 수 있는 중남미 시장용 중형 픽업 △소형 픽업 △소형 승용 △소형 SUV 4종 △북미 시장용 전기 상용 밴 등 총 5종이다.
공동 개발 과정에서 GM은 중형 트럭 플랫폼 개발을, 현대차는 소형 차종 및 전기 상용 밴 플랫폼 개발을 맡는다. 각 사의 강점이 집약된 분야다. 완성차 업체가 기술의 정점으로 불리는 플랫폼을 공동 개발해 공유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들은 공통의 차량 플랫폼을 개발해 공유하는 동시에 각 브랜드의 정체성에 부합하는 내외장도 개발한다. 공동 개발 차량 양산이 본격화되면 연간 80만 대 이상을 생산 및 판매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차 관계자는 "GM과 오는 2028년 출시를 목표로 중남미 시장용 신차를 위한 디자인 및 엔지니어링 관련 협업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이르면 2028년부터 미국 현지에서 전기 상용 밴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앞서 현대차와 GM은 지난해 9월 미래차 공동개발을 위한 연합전선을 구축한 바 있다. 당시 두 기업은 MOU를 통해 글로벌 시장을 위한 추가 공동 차량 개발 프로그램, 내연 기관·하이브리드·배터리 전기차·수소 연료 전지 기술을 포함한 파워트레인 시스템 전반에 걸친 협업을 약속한 바 있다. 이날 발표는 지난해 협업에서 한 단계 더 진화한 것으로, 차량 단순 차량 개발 협력을 넘어 북미·남미 시장에서 자동차 소재 및 운송, 물류에 관한 공동 공급망을 구축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실판 아민(Shilpan Amin) GM 글로벌 구매 및 공급망 부문 최고 책임자(수석 부사장)는 "현대차와 공동개발하는 차량은 중남미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세그먼트와 북미 시장의 상용차 부문을 타겟으로 한 것"이라며 "협업을 통해 고객들에게 더 다양한 선택지를 보다 빠르고 낮은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특히 "공동 개발하는 첫 번째 차량들은 양사가 보유한 상호 보완적 강점과 스케일의 시너지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주는 사례"라고 강조했다.
글로벌 불확실성 파고에 맞서는 현대차의 전략은 단순 경쟁을 넘어 라이벌을 끌어 않는 동맹 전략으로 한 차원 진화하고 있다는 평가다. 앞서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지난해 말 토요타 아키오 토요타그룹 회장과 만나 수소차 기술 협력 방안을 논의한 바 있다. 또 지난 4월에는 '철강 맞수' 포스코그룹과 미국 루이지애나주 전기로 제철소 건설을 위한 공동 투자에 협력했다.
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정부의 관세 폭탄이라는 글로벌 공급망 격변기 속에서 라이벌 기업들이 구조적 한계를 돌파하기 위해 새로운 협력 사례를 만들고 있다"고 분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