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푸틴, 15일 알래스카서 정상회담…우크라戰 '휴전 분수령' 되나

  • 푸틴, '크림반도·돈바스' 자국 영토 인정 조건 휴전 제안

  • 젤렌스키, 영토 양보 거부…유럽 "무력 국경 변경 안돼"

  • 트럼프 "양쪽 모두 개선되도록 영토 교환 있을 것" 언급

왼쪽부터 젤렌스키 트럼프 푸틴 사진AFP연합뉴스
왼쪽부터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사진=AFP·연합뉴스]
미국과 러시아 정상이 15일(현지시간) 알래스카에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휴전을 위한 담판을 짓는다. 여기에 미 백악관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알래스카로 초청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알래스카 회담’에서 3년 6개월째 이어지고 있는 전쟁의 출구가 마련될지 이목이 쏠린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8일 자신 소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푸틴 대통령과의 회담이 15일 알래스카주에서 열릴 것”이라고 적었다. 같은 날 러시아 관영매체 타스도 크렘린궁이 푸틴·트럼프 대통령의 알래스카 회동을 확인했다고 보도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이 알래스카로 초청될 수 있다는 소식도 전해졌다. 미 NBC뉴스는 9일 “백악관이 젤렌스키 대통령을 알래스카로 초청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이번 미·러 회담은 1월 시작된 트럼프 집권 2기 첫 미·러 정상회담이자 2022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면 침공 이후 처음 열리는 미·러 정상의 대면 회담이다.
 
정상회담을 둘러싼 핵심 쟁점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동부 영토 점령에 대한 인정 여부다. 미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들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크림반도와 함께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루한스크(통칭 돈바스)를 러시아 영토로 인정하면 휴전하겠다는 입장이다. 다만 우크라이나 비무장화·정권교체 등 일부 강경 요구는 철회한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는 회담을 앞두고 영토 확보를 위한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다. 
 
반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유럽 주요국은 ‘상호적 영토 교환’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텔레그램에 “우크라이나 영토 문제에 대한 답은 우크라이나 헌법에 있다”며 “우크라이나인들은 땅을 점령자에게 내주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영국·프랑스·독일·이탈리아·폴란드·핀란드 정상과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은 이날 공동성명을 통해 “우크라이나는 무력으로 국경을 변경해서는 안 된다는 원칙을 여전히 지키고 있다”며 “현재의 전선이 협상의 출발점이 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휴전을 중재하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영토 일부 교환’을 언급했다. 그는 8일 “이는 3년 반 동안 싸워온 영토다. 아주 복잡하다”며 “우리는 일부는 돌려받고 일부는 교환할 것이며 양쪽에 모두 개선되도록 영토 교환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 CBS뉴스는 백악관이 유럽 국가들에 러시아가 돈바스 지역을 차지하고 크림반도는 유지하는 내용을 담은 합의안을 타진하고 있다고 전하기도 했다. 스테판 마이스터 독일외교협의회 러시아 담당 분석가는 미 뉴욕타임스(NYT)에 두 정상의 이번 정상회담 목표가 다를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은 전쟁을 종식시키는 데 초점을 맞출 것이고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의 전략적 재배치를 추진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번 회담의 성패는 트럼프 대통령이 양측 입장차를 어떻게 조율하고, 러시아를 얼마나 강하게 압박하느냐에 달려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6일 러시아산 석유 수입을 이유로 인도에 25%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해 러시아의 ‘돈줄’ 조이기에 나섰다. 여기에 러시아 은행 제재, 러시아산 에너지의 주요 수입국인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 등 압박 카드가 남아 있어 이를 활용해 푸틴 대통령의 양보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