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집값 상승과 전세 품귀로 경기 지역으로 향한 주거 수요가 증가한 반면, 경기 내 전세 물량마저 최근 빠르게 감소하면서 가을철 전세난이 수도권 전체로 확산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0일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인 리치고에 따르면 이날 경기 전체 아파트 전세 물량은 2만973건을 기록했다. 1개월 전(2만3605건)과 비교하면 11% 넘게 감소했다. 1년 전인 2만9591건과 비교하면 전세 물량이 무려 29.1%나 줄어든 것이다.
지난 1개월 새 전세 물량이 20% 가까이 감소하는 지역도 등장하고 있다. 안양시 동안구의 경우 한 달 전 776건을 기록한 전세 매물이 636건으로 18% 넘게 감소했다. 경기 광명시 역시 전세 물량이 같은 기간 1060건에서 870건으로 17.9%나 줄어 가파른 감소세를 기록했다.
이날 서울 전체 전세 물량은 2만2349가구로, 경기 전세 물량이 서울보다 뒤처지는 현상이 지난해 10월 이후 굳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경기 외 인천의 전세 물량은 최근 1개월 새 4957건에서 4460건으로 10% 넘게 감소했다.
특히 1000가구 이상 단지에서 전세 물량이 ‘0건’을 기록하는 사례도 속속 나오고 있다. 성남시 분당구 ‘판교해링턴플레이스’는 1123가구는 현재 전세 매물이 0건을 기록하고 있다. ‘느티마을 4단지’ 역시 1000가구가 넘는 단지임에도 전세 매물이 현재 씨가 마른 수준이다.
1829가구의 대단지인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동수원자이1차’는 지난달 24일 전세 매물이 입주 후 처음으로 0건을 기록하기도 했다. 2000가구가 넘는 오산시 ‘오산역이편한세상1·2단지’ 역시 전세 매물이 종적을 감췄다.
전세 매물 품귀로 올해 경기 일대 전세 가격도 꾸준히 우상향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경기 전체의 전세가격 변동률은 0.47%를 기록했다. 이 중 과천은 10.7%, 성남 분당은 6.7%, 용인 수지는 3.5%, 안양 동안이 3%대 수준의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주거난으로 서울 내 실수요자들이 경기와 인천 등으로 이동했지만 정작 경기 일대 전세 매물이 빠르게 감소하면서, 전세난이 수도권 일대로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경기도에는 인구 1만426명이 순유입되며 전국에서 최다 수준을 기록했다. 인천 역시 전국에서 두 번째로 인구 순유입이 많았다.
반면 서울에서는 같은 기간 광역자치단체 중 가장 많은 1만51명이 타지역으로 순유출됐다. 연령대별로는 30~34세가 주로 경기와 인천 등으로 순유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높은 주택 가격으로 인해 30대를 중심으로 서울에서 경기·인천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는 것이 통계청 관계자의 설명이다.
정부가 ‘6.27 대책’을 통해 수도권 내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 이하로 제한하고,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대출을 전면 금지하면서 전세 품귀 현상이 가속화한 것도 전세난 심화 우려를 뒷받침하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금융권에서 최근 조건부 전세대출 취급 제한을 확대하고, 전세대출과 정책모기지에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적용 검토를 시사하면서 전세 시장 불안도 더욱 커지고 있다.
김인만 김인만부동산경제연구소장은 “내년부터 수도권 전역의 입주 물량이 급감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며 “서울에 이어 인천과 경기 물량이 줄면서 수요 분산도 어려워져 전세 문제가 심화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10일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인 리치고에 따르면 이날 경기 전체 아파트 전세 물량은 2만973건을 기록했다. 1개월 전(2만3605건)과 비교하면 11% 넘게 감소했다. 1년 전인 2만9591건과 비교하면 전세 물량이 무려 29.1%나 줄어든 것이다.
지난 1개월 새 전세 물량이 20% 가까이 감소하는 지역도 등장하고 있다. 안양시 동안구의 경우 한 달 전 776건을 기록한 전세 매물이 636건으로 18% 넘게 감소했다. 경기 광명시 역시 전세 물량이 같은 기간 1060건에서 870건으로 17.9%나 줄어 가파른 감소세를 기록했다.
이날 서울 전체 전세 물량은 2만2349가구로, 경기 전세 물량이 서울보다 뒤처지는 현상이 지난해 10월 이후 굳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경기 외 인천의 전세 물량은 최근 1개월 새 4957건에서 4460건으로 10% 넘게 감소했다.
1829가구의 대단지인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동수원자이1차’는 지난달 24일 전세 매물이 입주 후 처음으로 0건을 기록하기도 했다. 2000가구가 넘는 오산시 ‘오산역이편한세상1·2단지’ 역시 전세 매물이 종적을 감췄다.
전세 매물 품귀로 올해 경기 일대 전세 가격도 꾸준히 우상향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경기 전체의 전세가격 변동률은 0.47%를 기록했다. 이 중 과천은 10.7%, 성남 분당은 6.7%, 용인 수지는 3.5%, 안양 동안이 3%대 수준의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주거난으로 서울 내 실수요자들이 경기와 인천 등으로 이동했지만 정작 경기 일대 전세 매물이 빠르게 감소하면서, 전세난이 수도권 일대로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경기도에는 인구 1만426명이 순유입되며 전국에서 최다 수준을 기록했다. 인천 역시 전국에서 두 번째로 인구 순유입이 많았다.
반면 서울에서는 같은 기간 광역자치단체 중 가장 많은 1만51명이 타지역으로 순유출됐다. 연령대별로는 30~34세가 주로 경기와 인천 등으로 순유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높은 주택 가격으로 인해 30대를 중심으로 서울에서 경기·인천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는 것이 통계청 관계자의 설명이다.
정부가 ‘6.27 대책’을 통해 수도권 내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 이하로 제한하고,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대출을 전면 금지하면서 전세 품귀 현상이 가속화한 것도 전세난 심화 우려를 뒷받침하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금융권에서 최근 조건부 전세대출 취급 제한을 확대하고, 전세대출과 정책모기지에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적용 검토를 시사하면서 전세 시장 불안도 더욱 커지고 있다.
김인만 김인만부동산경제연구소장은 “내년부터 수도권 전역의 입주 물량이 급감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며 “서울에 이어 인천과 경기 물량이 줄면서 수요 분산도 어려워져 전세 문제가 심화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