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유단장 방미...6·25전사자 유해 상호봉환 논의

  • 한미 유해발굴 협력 정례 회의

 
이근원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장과 켈리 맥케그 미 DPAA 국장이 6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미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에서 개정된 이행약정IA에 서명을 끝내고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국방부
이근원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장과 켈리 맥케그 미 DPAA 국장이 6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미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에서 개정된 이행약정(IA)에 서명을 끝내고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국방부]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은 이근원 단장이 지난 3일부터 10일까지 미국을 찾아 한미 유해발굴 협력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했다고 11일 전했다.
 
한미 유해발굴 협력 정례회의가 지난 6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미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 본부(DPAA)에서 열렸다. 이 회의는 2011년부터 매년 주기적으로 열리고 있다.
 
이근원 단장과 켈리 맥케그 미 DPAA 국장은 유해의 상호 봉환 시기 등을 논의했다. 현재 미국에서 한국으로 봉환될 유해는 7구, 한국에서 미국으로 봉환될 유해는 3구다. 시기로는 6월 호국보훈의 달, 유엔군 참전의 날 등이 거론됐다. 지난 여섯 차례 상호봉환행사는 2016년을 제외하고 모두 대통령 주관으로 시행됐다.
 
6·25전쟁에 유엔군 일원으로 참전했다가 전사한 튀르키예 군 유해 4구의 인수는 이달 중 실시하기로 했다. 현재 미 DPAA에서 보관하고 있는데, 1996∼2005년 북한 지역에서 북미가 공동으로 발굴한 유해 3구와 1984년부터 하와이 국립묘지 재개장 과정에서 발굴된 무명용사 유해 1구다. 이들 유해 4구는 미 DPAA와 유엔군사령부를 거쳐 국유단이 인수했다가 11월 재한유엔기념공원 안장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근원 국유단장은 “국유단은 미 DPAA와 더욱 긴밀한 협력관계를 구축해 나가면서 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해 헌신했던 모든 양국의 6·25전쟁 전사자분들을 하루빨리 찾아 재회를 간절히 염원하는 유가족에게 모시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