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천NCC, 부도 위기 일단 벗어나...지속 가능성은 '물음표'

  • 한화 이어 DL도 자금 지원 결의

  • 디폴트 위기 급한 불 껐지만

  • 영업손실 누적, 신용도 하락 위기

  • 조 단위 차입금 해결과제

사진여천NCC
여수 제2사업장 전경 [사진=여천NCC]

한화그룹에 이어 DL(대림)그룹도 여천NCC 지원에 나서면서 회사 부도 위기는 일단 넘겼다. 다만 재무 건전성 악화가 심각해 사업 지속 가능성에는 여전히 물음표가 붙는다.
 
11일 재계에 따르면 여천NCC 주요 주주인 DL케미칼과 DL그룹 지주사인 DL㈜은 각각 이날 오전과 오후 긴급 이사회를 열고 약 2000억원 규모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결의했다. 조달 자금은 주로 여천NCC 지원에 활용된다.

국내 3위 에틸렌 생산 업체인 여천NCC는 오는 21일까지 운영자금 3100억원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디폴트(채무 불이행)에 빠진다. 이달에만 약 1800억원의 차입금을 상환해야 한다. 1분기 연결 기준 현금과 현금성 자산은 1172억원에 불과하다.

여천NCC는 한화그룹과 DL그룹이 지난 1999년 에틸렌 기초유분 생산을 위해 5대 5로 출자한 회사다. 각각 1명씩 공동대표를 파견했고 이사회도 동수다. 

여천NCC 현금이 고갈된 지난 6월 이후 양측은 지원 논의를 이어 왔다. 한화그룹은 지난달 1500억원의 자금 대여를 결의한 반면, DL그룹은 추가 지원에 난색을 표했다. 한화솔루션이 올해 여천NCC에서 구매하는 에틸렌 가격을 전년 대비 낮춘 것도 양측 불화의 원인으로 꼽힌다. 

여천NCC가 워크아웃(기업구조조정)에 들어가면 국내 석화 업계 전반에 도미노 위기가 확산할 것이라는 지적이 커지자 DL그룹은 일단 지원 쪽으로 선회했다. 

다만 중국·중동발 공급 과잉에 따른 구조적 불황으로 회사의 재무적 체력은 극도로 허약해진 상태다. 회사채, 기업어음(CP), 유동화증권 등 1년 내 갚아야 할 금액이 1조3000억원 안팎이다. 현재 'A-'인 신용도가 'BBB+'로 하락할 경우 채권자들이 조기 상환을 요청할 수도 있다.

에틸렌 사업 지속 가능성을 놓고 한화·DL그룹 간 갈등이 표면화한 만큼 여천NCC 분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DL케미칼은 이날 자료를 내고 "한화의 주장대로 공급 가격 계약이 진행되면 부실은 반복될 수밖에 없다"며 "심지어 한화는 대주주 의무를 잊고 다른 업체와 에틸렌 구매 접촉을 하는 등 여천NCC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고 비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