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 장관은 14일 서울 외교부 브리핑실에서 열린 내신 대상 기자간담회에서 북·미 대화 물밑 협상이 진행 중이냐는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그는 "지난달 말 미국을 방문해 마코 루비오 국무부 장관과 백악관 실무들을 만나 '지금 상황에서 뭔가 새로운 돌파구를 만들기 위해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했다"며 "미측은 그런 말에 대해 상당히 호의적이었다"고 설명했다.
조 장관은 "현재까지 미국은 북한이 핵을 보유할 수 없다는 입장"이라며 "그렇기떄문에 (북미 대화가 재개되려면) 여러 가지 밀당(밀고 당기기)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오는 25일 한·미 정상회담의 의제로 동맹 현대화와 주한미군 전략적 유연성이 오를지와 관련해서는 "실무에서 긴밀하게 협의하고 협상하고 있다"면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말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라고 말했다.
이어 "원자력, 조선, AI(인공지능), 퀀텀, 바이오 등을 망라하는 기술 동맹 차원으로 한·미 동맹을 확대하고 깊이 있게 만들자는 방향"으로 이번 회담을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재명 대통령이 미국을 방문하기에 앞서 오는 23일 일본을 먼저 방문한 것에 대해 "실사구시를 추구하는 이재명 정부이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라며 "실용외교의 철학이 실천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미국 방문에 앞서서 우리와 여러모로 입지가 유사한 일본과 먼저 이야기하는 것이 자연스럽고 필요하다는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대중 외교에 관해선 "중국과는 근본적 차이도 있고, 그러나 그런 차이를 극복하고 일정 부분 협력하고 관여해야 할 필요도 있다"며 "실용적으로 접근해서 한·중 관계를 잘 관리해 나가고자 한다"고 밝혔다.
조 장관은 국정기획위원회의 외교 분야 과제로 외교 다변화 추진이 포함된 것과 관련해 "이번 주말 인도를 방문할 것"이라며 "외교 다변화에 있어서 중요한 디딤돌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