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2일 박인규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주재로 열린 ‘2025년 제6회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에서 인공지능(AI) 혁신 거점 조성, 국산 AI 반도체 개발, 소형모듈원자로(SMR) 혁신제조, 해양연구선 대체 건조 등 7개 국가 전략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예타)를 면제하기로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예타가 면제된 사업은 모두 국가 정책적으로 시급성이 인정된 과제들이다. 우선 광주 ‘AX 실증 밸리 조성’, 대구 ‘지역거점 AX 혁신 기술개발’, 전북 ‘협업지능 피지컬AI 기반 SW플랫폼 R&D 생태계 조성’, 경남 ‘인간-AI 협업형 LAM 개발·글로벌 실증’ 등 지역별 AI 혁신 거점 구축 관련 4개 사업이 포함됐다.
정부는 지역 데이터센터의 고성능 컴퓨팅 자원을 활용해 도시·모빌리티·제조·바이오 등 특화 분야별 AI 전환(AI Transformation) 모델과 제품을 개발·실증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7개 사업은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를 거쳐 총사업비와 세부 내용이 최종 확정된 뒤 2026년부터 착수될 예정이다.
한편 위원회는 지난해 예타 대상에 선정된 ‘범부처 첨단 의료기기 개발 사업’의 조사 결과를 ‘시행’으로 확정했다. 총사업비는 9408억원(국비 8383억원)이며, 2026년부터 2032년까지 7년간 진행된다. 관계 부처가 협업해 AI 등 디지털 기술 기반의 세계 최고 수준 첨단 의료기기와 필수 의료기기를 기초 연구부터 제품화, 임상, 인허가까지 전 주기에 걸쳐 지원하는 사업이다.
박인규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AI 연구개발 투자는 한시도 지체할 수 없다는 범부처의 공감대가 있었기 때문에 예타 면제가 신속히 결정됐다”며 “예타가 기술 경쟁력 확보의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조속히 제도 혁신을 완수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