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주변국과 잇단 해상구조물 갈등…日 "추가 설치 유감"

  • 日 "中 해상구조물 추가 설치 움직임 확인"

중·일 중간서 서쪽서 확인된 중국측 구조물사진일본 외무성 자료 캡처
중·일 중간서 서쪽서 확인된 중국측 구조물[사진=일본 외무성 자료 캡처]

일본 정부가 중국의 추가 해상 구조물 설치 움직임을 확인하고 공식 항의했다.
 
26일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일본 외무성은 전날 발표한 입장문에서 “동중국해의 배타적 경제수역(EEZ)과 대륙붕 경계가 미확정인 상황에서 중국 측의 일방적 개발 진행과 새로운 구조물 설치 움직임이 확인됐다”며 “매우 유감”이라고 밝혔다.
 
외무성은 또 주일 중국대사관에 항의의 뜻을 전달하고 동중국해 자원개발에 관한 양국 협력을 약속한 2008년의 합의 이행을 위한 협상 재개에 조기에 응할 것을 요구했다고 덧붙였다.
 
요미우리신문은 “중국이 일방적으로 가스전을 개발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이번 설치물이 완성되면 중일 중간선 서쪽 21번째 구조물이 된다고 전했다. 동중국해에서 양국의 EEZ와 대륙붕 경계는 미확정인 상태다.
 
일본은 ‘중·일 중간선’으로 부르는 선을 경계선으로 주장하는 데 비해 중국은 오키나와 해곡까지 대륙붕이 연결돼있다는 이유로 훨씬 동쪽을 기준선으로 삼아야 한다는 의견을 보여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해 중국과 일본은 2008년 6월 경계가 확정될 때까지 과도적으로 쌍방의 법적 입장을 해치지 않고 협력하기로 합의하고 동중국해 특정 구역을 정해 공동 자원 개발 및 공동 탐사를 추진하기 위한 협상을 벌여나가기로 했다.
 
앞서 일본은 지난 6월 24일에도 중국이 동중국해에서 중·일 양국의 지리적 중간선 서쪽(중국 쪽)에 새로운 구조물을 설치하는 움직임이 확인됐다며 “매우 유감”이라고 밝힌 바 있다.
 
당시 중국은 일본의 반발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맞섰다.
 
궈자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6월 25일 브리핑에서 “중국의 동해(동중국해) 석유·가스 개발 활동은 논쟁의 여지가 없는 중국 관할 해역에서 하는 것이고, 완전히 중국의 주권 권리와 관할권 범위 안의 사안”이라며 “중국은 일본의 터무니없는 지적을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중국은 한국과도 서해에서의 구조물 설치를 두고 갈등을 빚고 있다.
 
중국은 한·중 양국의 200해리 EEZ가 겹치는 서해 잠정조치수역(PMZ)에 일방적으로 해상 구조물들을 설치한 상태다.
 
‘심해 어업 양식 시설’이라며 선란 1호(2018년)와 2호(2024년)를 만들었고, 2022년에는 ‘관리 시설’이라는 명목으로 석유 시추 설비 형태 구조물도 설치했다.
 
이를 두고 중국이 서해 영향력을 확대하고 영유권 주장 근거를 만들기 위해 구조물을 설치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