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논의 의제는 접속지연 지역 애로해소, 인버터 성능기준 강화, 지역 단위 계통 운영역량 강화, 전력 설비 전자파 정보공개 확대 방안 등이다.
우선 전력 당국은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 사업자들의 접속 대기 현안 해소에 역점을 두기로 했다. 정부와 한전 등은 공동으로 인허가 기관들과 협의해 설비증설을 위한 자재 조기 확보, 변전소 입지 조기 확정 등을 통해 공사에 차질이 없도록 할 예정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러한 노력을 통해 전북, 광주·전남, 대구·경북 등 지역 약 437MW(메가와트)의 시급한 접속 대기 물량이 올해 안으로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잔여 접속 대기 물량 역시 단계적으로 해소하는 데 총력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계통 운영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정보 연계도 확대된다. 전력 당국은 송·배전망의 정밀한 관제운영과 신속한 출력제어 대응을 위하여 지난해부터 거래소, 한전, 전안공의 전력정보 연계를 추진해 지난 6월 1차 정보연계를 완료한 바 있다.
올해 내 배전망 제어 정보의 연계를 더욱 고도하는 2차 연계를 시행해 발전량 실측 정보의 활용도를 높이고 발전량 추정 정보의 정확도 역시 개선할 예정이다. 또 전기안전공사가 보유한 자가용 태양광 설비정보 등 그간 전력망 운영시스템에서 실측 계량이 부족했던 발전설비에 대해서도 정보관리 체계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전력 설비에 대한 지역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도 함께 논의됐다. 한전은 전력 설비 전자파 발생 측정량과 발생 영향 등 상세 정보를 올해 내로 홈페이지에 투명하게 공개해 전자파에 대한 우려를 완화해 나갈 계획이다.
최연우 산업부 전력정책관은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서는 전력망 안정성 확보가 필수"라며 "계통 운영 및 관리자들의 통합 대응력 강화와 사업자들의 책임성 확대를 합리적으로 병행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