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김 권한대행 체제, 여·야 정치권과 협력 국비 8조원대 '청신호'

  • AI·교통·문화·관광·안전 등 전 분야 국비 대거 확보

대구시는 복지사업과 교부세를 포함한 국비 8조원대 확보의 교두보를 마련했다 사진대구시
대구광역시청 청사 전경. [사진=대구시]

대구광역시는 초유의 권한대행 체제에서도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 투자 사업 기준 역대 최대인 4조2754억원(전년 최종 예산 4조433억 대비 약 6% 증)을 반영하며, 복지 사업과 교부세를 포함한 국비 8조원대 확보의 교두보를 마련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결과는 연초부터 수차례 개최한 국비 전략 보고회를 통해 신규 사업을 체계적으로 발굴·구체화하고, 국비 확보 전략 수립 후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을 중심으로 전 직원이 한 팀이 돼 중앙 부처와 기재부를 직접 방문하며 협의와 설득에 집중한 노력의 결실로 분석된다.
 
특히 권한대행 체제 전환 이후 대구시는 △지방재정협의회 △제3차 재정정책자문회의 △민주당 대구시당 당정협의회 △국정기획위원회 방문 △국민의힘 예산정책협의회 △경제부총리 예산협의회 등 다양한 협의 채널을 총동원해 핵심 사업의 당위성과 시급성을 강조하며, 중앙 정부와 여·야 정치권 설득에 전념해 왔다.
 
이러한 노력이 이번 정부 예산안에 국비 사업이 대거 반영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
 
2026년도 정부 예산안 주요 반영 사업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로 AI·로봇·바이오·모빌리티 등 미래 신산업 육성으로 △지역거점 AX 혁신기술개발(198억원) △국가로봇테스트필드 조성(576억원) △모빌리티 부품 제조AI확산센터 구축(20억원) △로봇기반 공간컴퓨팅 창업지원(15억원) △뇌 오가노이드 상용화 플랫폼 구축(10억원) 등이 반영됐다.
 
대구의 연구 개발 인프라가 한층 고도화되고 지역 산업 전반의 혁신 역량이 강화된다. 이를 통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앞당기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둘째로 대구경북신공항 성공 추진 및 교통 허브 조성으로 △대구산업선철도 건설(1918억원) △대구경북신공항(민간 공항) 건설(318억원) △조야~동명 간 광역도로 건설(300억원) △달빛철도 건설(85억원) △금호워터폴리스 산단 진입도로 건설(67억원) 등이 반영됐다.
 
지역 간 접근성을 크게 개선하고 물류·산업 경쟁력을 강화해 대구가 동북아 물류·교통 허브로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
 
셋째로 글로벌 문화예술 도시 건설로 △디아크 문화관광 활성화(46억원) △대구글로벌웹툰센터 조성(28억원)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17억원) △경상감영 복원 정비(11억원) △달성토성 복원 정비(6억원) 등이 반영돼 관광 명소 조성, 콘텐츠 산업 육성, 문화유산 복원을 아우르게 됐다.
 
이를 통해 대구의 도시브랜드 가치를 한층 높이고, 전통과 미래가 공존하는 살고 싶은 글로벌 문화도시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넷째로 시민 안전 강화 및 행복 증진으로 △하수관로 정비(507억원) △오수간선관로 설치(201억원) △대구철도통합무선망(LTE-R) 구축(56억원) △지하 시설물 DB 정확도 개선(9억원) △금호강 하천 조성(151억원) △금호강 고모지구 하천환경 정비(87억원) △금호강수계 비점오염저감(3억원) △명복공원 현대화(80억원) △하중도 친수공간조성 및 명소화(4억원) 등 시민 안전과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국비 사업이 다수 반영됐다.
 
이에 재난과 환경 위험 대응 역량이 강화되고, 쾌적하고 안전한 도시환경 조성으로 시민 삶의 질과 행복 증진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게 됐다.
 
대구시는 현 정부의 확장적 재정 정책 기조에 맞춰 투자 사업 국비 목표를 전년 대비 8% 증가한 4조3600억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또한 국회의 예산 심의 과정에서 중앙 부처 및 여·야 정치권과 지속적으로 협력해 주요 국비 사업이 최종 정부 예산에 반영될 수 있도록 빈틈없이 할 계획이다.
 
김정기 대구광역시장 권한대행 행정부시장은 “이번 정부 예산안에 미래 신산업, 교통 인프라, 문화·관광, 시민 안전 등 시의 핵심 사업을 반영해 준 정부 관계자에게 우선 감사드리며, 이러한 성과는 대구시 모든 공직자가 하나로 힘을 모은 결과이다”며 “국회 예산 심의가 끝나는 순간까지 국비 사업이 최대한 추가 반영될 수 있도록 전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