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도네시아에서 반정부 시위가 격화하며 현지 거점을 둔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IBK기업) 사이에선 긴장감이 감돈다. 재택근무를 활성화하는 한편 현금수송 등 위험 지역으로 이동을 최소화하며 비상체제에 돌입했다. 자칫 시위가 장기화하면 현지 사업에도 악영향이 불가피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에 진출해 법인이나 지점, 사무소 등을 운영 중인 5대 은행은 최근 현지에서 이어지는 대규모 시위로 인해 비상대응체제에 들어갔다.
KB국민은행 인도네시아 자회사 KB뱅크(구 부코핀)는 필수 인원을 제외한 인력에 대해 재택근무 등 보호조치를 하고, 향후 상황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중이다. 신한인도네시아은행도 전 직원을 대상으로 비상 연락망을 가동하는 한편 직원 거주 지역과 출퇴근 동선을 고려해 선택적 재택근무를 시작했다. 이 밖에 하나은행 인도네시아 법인은 경영진과 ‘업무 연속성 계획(BCP·비즈니스 컨틴전시 플랜)’ 관련 부서가 실시간 소통하고 있고, 우리소다라은행은 안전 매뉴얼 기반으로 대응 중이다. IBK인도네시아은행 역시 재택근무 등에 나섰다.
인도네시아 정부도 위험 지역에 있는 은행 본점과 점포 또는 그곳에 거주하는 직원에 대해 재택근무를 권고하는 공문을 보낸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달 28일 자카르타에서 시작된 인도네시아 반정부 시위는 점점 전국으로 확산하며 과격한 양상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국내 은행은 인도네시아 전역에 거점을 운영하는 만큼 영향이 클 수밖에 없다. 5대 은행만 하더라도 현지에서 운영하는 점포가 총 432개에 이른다. KB국민은행(KB뱅크)이 법인 1개, 지점 171개로 가장 많고 △우리은행(우리소다라은행) 161개 △하나은행(PT Bank KEB Hana) 39개 △신한은행(신한인도네시아은행)·IBK기업은행(IBK인도네시아은행) 각 30개 등 순이다.
이에 은행들은 평소 잦은 현금 수송 횟수를 최소화하고 이동 시에도 시위 지역을 통과하지 않도록 동선을 확인해 위험 노출을 줄이고 있다. 또 본점과 비상 연락망을 구축해 실시간 상황을 공유하거나 전 부서에 근무 가이드라인을 전파해 비상상황에 대비 중이다. 아직 시위 등으로 발생한 직접적인 피해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예상보다 시위가 장기화하면 현지 사업에 대한 악영향은 불가피하다. 특히 올해 경영 정상화를 꾀하던 KB뱅크는 목표 달성에도 제동이 걸리게 됐다. KB뱅크는 KB국민은행이 인수한 이래 △2020년 434억원 △2021년 2725억원 △2022년 8021억원 △2023년 2613억원 △2024년 3606억원 등 5년째 적자를 기록했으나 올해 첫 연간 흑자를 목표로 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인도네시아 정부가 재택근무를 포함한 여러 지침을 내렸다”며 “시위 확산 우려에 조기 퇴근하거나 출장을 자제하며 선제 대응을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