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중국 전승절 80주년 열병식 참석과 이를 계기로 열린 북·러 정상회담 소식을 대내외 매체를 통해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은 4일 김 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전날 베이징 댜오위타이 국빈관에서 개최한 양자 회담에 대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과 로씨야(러시아) 연방 사이의 전망적인 협조 계획들에 대해 상세히 토의했다"고 밝혔다.
통신에 따르면 양 정상은 양자 관계를 높은 수준으로 인도해 나갈 '확고부동한 의지'를 재확인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양국을 두고 "특수한 신뢰 관계, 우호 관계, 동맹 관계"라면서 "로씨야는 조선 군대가 바친 희생을 영원히 잊지 않을 것이며, 로씨야 인민을 대표해 전체 조선 인민에게 보내는 가장 뜨거운 인사를 전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정은 위원장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앞으로도 국가 주권과 영토완정, 안전이익을 수호하기 위한 러시아 정부와 군대, 인민의 투쟁을 전적으로 지지할 것"이라며 "그것을 형제적 의무로 간주하고, 조·로(북·러) 국가 간 조약의 이행에 변함없이 충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푸틴 대통령이 이번 회담에서 김 위원장을 거듭 러시아로 초청한 사실도 알려졌지만, 이날 통신은 이에 대해 별도로 언급하지 않았다.
통신은 다른 기사를 통해 김 위원장이 전날 베이징에서 열린 전승절 기념행사에 참석했다고도 소개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이날 6면 중 3개 면을 할애해 김 위원장의 방중 일정을 상세히 보도했다. 총 46장의 사진을 공개하며 열병식 참석과 정상 간 교류 장면을 집중적으로 조명했다.
공개된 사진에는 김 위원장이 톈안먼 망루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푸틴 대통령과 나란히 선 모습, 시 주석과 두 손을 맞잡고 활짝 웃는 모습 등이 포함됐다.
또 김 위원장이 망루에 오르기 전 20여 개국 정상급 인사들과 레드카펫을 함께 걸으며 담소를 나누는 모습, 행사 후 시 주석이 주재한 리셉션에 참가한 장면도 실렸다.
특히 전날 공개되지 않았던 김 위원장이 푸틴 대통령의 전용 리무진 '아우루스'에 함께 탑승해 있는 차량 내부 사진도 포함돼 눈길을 끌었다.
북한이 대내 매체를 통해 김 위원장의 다자 외교 데뷔를 이같이 상세히 알린 것은 최고지도자가 국제사회에서 존중받고 있다는 이미지를 부각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조선중앙통신은 4일 김 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전날 베이징 댜오위타이 국빈관에서 개최한 양자 회담에 대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과 로씨야(러시아) 연방 사이의 전망적인 협조 계획들에 대해 상세히 토의했다"고 밝혔다.
통신에 따르면 양 정상은 양자 관계를 높은 수준으로 인도해 나갈 '확고부동한 의지'를 재확인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양국을 두고 "특수한 신뢰 관계, 우호 관계, 동맹 관계"라면서 "로씨야는 조선 군대가 바친 희생을 영원히 잊지 않을 것이며, 로씨야 인민을 대표해 전체 조선 인민에게 보내는 가장 뜨거운 인사를 전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정은 위원장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앞으로도 국가 주권과 영토완정, 안전이익을 수호하기 위한 러시아 정부와 군대, 인민의 투쟁을 전적으로 지지할 것"이라며 "그것을 형제적 의무로 간주하고, 조·로(북·러) 국가 간 조약의 이행에 변함없이 충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푸틴 대통령이 이번 회담에서 김 위원장을 거듭 러시아로 초청한 사실도 알려졌지만, 이날 통신은 이에 대해 별도로 언급하지 않았다.
통신은 다른 기사를 통해 김 위원장이 전날 베이징에서 열린 전승절 기념행사에 참석했다고도 소개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이날 6면 중 3개 면을 할애해 김 위원장의 방중 일정을 상세히 보도했다. 총 46장의 사진을 공개하며 열병식 참석과 정상 간 교류 장면을 집중적으로 조명했다.
공개된 사진에는 김 위원장이 톈안먼 망루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푸틴 대통령과 나란히 선 모습, 시 주석과 두 손을 맞잡고 활짝 웃는 모습 등이 포함됐다.
또 김 위원장이 망루에 오르기 전 20여 개국 정상급 인사들과 레드카펫을 함께 걸으며 담소를 나누는 모습, 행사 후 시 주석이 주재한 리셉션에 참가한 장면도 실렸다.
특히 전날 공개되지 않았던 김 위원장이 푸틴 대통령의 전용 리무진 '아우루스'에 함께 탑승해 있는 차량 내부 사진도 포함돼 눈길을 끌었다.
북한이 대내 매체를 통해 김 위원장의 다자 외교 데뷔를 이같이 상세히 알린 것은 최고지도자가 국제사회에서 존중받고 있다는 이미지를 부각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