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탭 화재 5년간 3720건…국표원 소비자 안전주의보 발령

  • 감전·누전 사고 대다수…'주택' 최다 발생

사진국가기술표준원
[사진=국가기술표준원]
필수 가전의 범위 확대로 가정 내 전력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멀티탭·콘센트·플러그의 과부하 등으로 인한 화재·화상 사고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정부가 소비자 안전주의보를 발령하고 사고 예방에 팔을 걷었다. 

4일 국가기술표준원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20~2024년)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관련 안전사고는 총 387건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20년 기준 79건에서 2021년 52건으로 감소한 뒤 2022년 62건, 2023년 93건, 지난해 101건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같은 기간 소방청의 국가화재정보시스템에 접수된 멀티탭·콘센트·플러그 화재 건수는 총 3720건으로 2020년 620건에서 지난해 869건으로 매년 증가했다. 

이에 국표원, 국립소방연구원, 한국소비자원은 멀티탭·콘센트·플러그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소비자 안전주의보를 발령했다.

멀티탭 등 안전사고 원인을 분석한 결과 '전기 관련'이 44.7%(173건)로 가장 많았고 '화재·과열 관련' 25.1%(97건), '물리적 충격' 16.8%(65건) 등의 순이었다.

특히 감전, 누전, 합선 등 '전기 관련' 원인이 절반 가까이 차지했는데 이는 화재 등 중대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멀티탭 등 안전사고로 위해를 입은 240건을 분석한 결과 '주택'이 위해발생 장소의 84.6%(203건)를 차지해 상당수의 사고가 가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해증상의 경우 '화상'을 입은 사례가 48.3%(116건)로 가장 많았고, '전신 손상'도 17.5%(42건)로 다수 확인됐다.

연령이 확인된 안전사고 239건 중 절반(48.1%, 115건)이 '10세 미만 어린이'에게 발생한 것으로 나타나 멀티탭 등 사고 예방을 위한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와 관찰이 요구된다.

국가기술표준원, 국립소방연구원, 한국소비자원은 멀티탭·콘센트·플러그 안전 사용을 위한 주의사항을 배포하고, 야외 점포와 노후화된 멀티탭이 많은 전통시장을 방문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캠페인을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소비자들에게 △전기제품의 소비전력을 미리 확인하고 멀티탭의 정격용량[W=전압(V)×전류(A)]을 초과하지 않게 사용할 것 △멀티탭에 또 다른 멀티탭을 연결해 사용하지 말 것을 당부했다. 

또한 △에어컨, 온열기 같이 높은 소비전력의 제품은 벽면의 전용·단독 콘센트를 사용할 것 △멀티탭의 전선이 휘어지거나 무거운 물건에 눌려 손상되지 않도록 관리할 것 등을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