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일 최병호 고려대 인공지능연구소 교수는 “AI 정책을 큰 틀에서 보면 예산, 인재, 시스템 등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예산 측면에서는 합격점을 줄 수 있다”며 “AI 인프라 구축을 위한 GPU 확보 등은 긍정적인 정책”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최 교수는 인재 양성 분야와 관련해 “정부가 구상을 내놓았지만 아직 실질적인 실행이 부족해 평가하기 이르다”고 밝혔다.
그는 “단기적으로는 국내 인재 유출 방지와 해외 인재 유치가 관건이고, 장기적으로는 인재 육성이 중요하다”며 “이를 위해 의대나 부동산 같은 분야에 치중된 사회적 분위기를 바꿔 창의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인재가 몰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부의 조직 구조와 구성원의 적합성이 중요한데, 과학자를 중심으로 인재를 구성한 점은 잘한 결정”이라며 “예산권과 책임권을 기획재정부가 아닌 과학자들에게 부여한 점도 높이 평가할 만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적합한 인재와 예산 증액이 맞물려 전 정권에 비해 상당히 매력적인 환경이 조성됐다”고 덧붙였다.
다만 최 교수는 정책 추진 속도와 관련해 “지금 이재명 정부의 AI 정책이 빠르게 진행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시대 변화가 워낙 빨라 뒤처질 가능성이 있다”며 “정부의 의사 결정과 실행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민간과 협력해 속도를 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성엽 고려대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도 정부의 GPU 확보와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등 정책을 높이 평가했다.
이성엽 교수는 “이재명 대통령 취임 100일 동안 다양한 AI 정책 구상이 발표되고 독자 AI 모델 개발을 시도하는 모습은 긍정적”이라며 “다만 인프라 외에 인재와 데이터 문제는 아직 구체적인 실행 계획이나 전략이 명확하지 않아 평가하기 이르다”고 말했다.
이 교수 역시 AI 정책 실행 속도를 높여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
그는 “정부의 AI 정책이 구상 단계를 넘어 더 빠르게 실행에 옮겨져야 한다”며 “이재명 정부 출범 100일이 지났다는 것은 그만큼 중요한 골든타임이 지나가고 있다는 의미”라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