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멘트) '뉴스의 행간을 읽다' ABC 이모저모입니다. "명청대전". 신조어가 탄생했는데요. 이재명 대통령과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 간에 미묘한 신경전이 시작됐습니다. 현재 권력과 차기 권력인 만큼 둘 사이의 갈등은 필연적이지만, 그 시기가 조금은 일찍 온 것 아니냐는 전문가들의 목소리가 나옵니다. 박상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지난 11일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100일 기념 기자회견을 가진 가운데, 최근 정청래 대표와의 이견을 노골적으로 드러내 정치권에선 "당정 갈등이 본격화 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이날 이재명 대통령은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검찰 보완수사권 완전 폐지 문제'에 대해 "검사는 사건 수사에 손도 대지 말라고 하다가, 아예 관심도 갖지 말라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며 여당의 '보완수사권 완전 폐지' 방향에 우려를 표했습니다.
동시에 대통령실에서도 전방위적으로 정청래 대표를 향해 날선 비판을 쏟아냈습니다. 우상호 민정수석은 "당은 빠져라", 김민석 국무총리는 "우 수석 말에 동감한다", 이규연 홍보수석은 "이제부턴 행정의 영역"이라며 정청래 대표를 공격했습니다. 당의 2인자이자 대통령의 복심이라 불리는 김병기 원내대표 역시 대놓고 정청래 대표에게 "사과하라"며 갈등을 표출했습니다.
이처럼 대통령 최고급 참모들이 짠 듯이 목소리를 내는 현상에 대해 전문가들은 "대통령의 의중이 반영되지 않을 수 없다"며 "미래 권력이 된 정청래 대표에 대한 견제가 시작됐다고 봐야 한다"고 진단했습니다. 아울러 "당정 갈등은 필연적이지만 조금은 일찍 시작된 감이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한편, 개혁신당 이준석 대표는 일련의 사태에 대해 "기시감이 떠오른다"며 "당정 갈등 끝은 결국 파국"이라고 말했습니다. 자신과 갈등한 끝에 파국을 맞이한 윤석열 정부의 말로를 들며, 정부여당에 경고의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처럼 정치권 전체가 둘의 관계를 예의주시하고 있는 상황, 이재명 대통령과 정청래 대표의 갈등이 봉합할지 아니면 더 심화할지 지지층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