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대통령은 28일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와 관련해 긴급 비상대책회의를 주재하며 귀국 후 첫 현안을 챙겼다. 이재명 대통령은 피해 복구 상황을 보고 받고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라”면서 시스템의 신속한 복구와 전산망 이중화 등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지시했다.
이 대통령에게 산적한 현안 중 최대 과제로는 대미 통상협상이 꼽힌다. 이 대통령은 유엔 총회를 계기로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을 만나 대미 투자 펀드 조성을 위해 통화 스와프와 ‘상업적 합리성’ 보장이 필요하다는 뜻을 강하게 전했다.
그러나 미국 측은 3500억 달러 규모 대미 투자 펀드를 두고 ‘선불’이라고 강조하거나 5500억 달러로 펀드 규모를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등 압박 수위를 한층 높이고 있다.
통상협상에 대한 우려는 여권 내에서도 제기된다. 김동연 경기지사는 28일 본인 SNS를 통해 “트럼프 정부의 일방적인 현금 대미투자 요구를 수용한다면 대한민국도 잃어버린 30년의 문을 열게 될 것”이라며 “대미 관세 협상, 한국판 플라자 합의는 안 된다”고 했다.
다음 달 말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통해 통상협상을 서둘러 매듭지어야 하는 게 이 대통령의 당면 과제로 여겨진다.
국내 정치권 상황도 녹록지 않다. 최근 국회에서는 검찰청을 폐지하는 정부조직법 개편안과 방송통신위원회를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로 변경하는 법안이 문턱을 넘으면서 여야 간 갈등이 격화하고 있다.
야당은 남은 쟁점법안인 국회법 개정안과 국회 증언감정법에 대해서도 무제한 토론(필리버스터)과 장외투쟁 등 강경 대응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이에 이 대통령이 취임 100여 일 만에 장 대표와 ‘독대’를 하는 등 협치를 약속했지만 기대감은 옅어지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