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 차단 없이 배터리 옮겼나...국정자원 화재 '정부 책임론' 급부상

  • 이설공사 중 UPS 전원 차단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

  • 전압 상승→스파크→배터리 화재로 이어져

  • LG엔솔·UPS업체 보증기간 끝나...별도 업체 공사

27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인근에서 현장 통제가 이뤄지고 있다 전날 오후 8시 20분께 전산실에서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로 화재가 발생했다 소방당국은 9시간 50분 만인 이날 오전 6시 30분께 초진 완료했다 사진연합뉴스
27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인근에서 현장 통제가 이뤄지고 있다. 전날 오후 8시 20분께 전산실에서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로 화재가 발생했다. 소방당국은 9시간 50분 만인 이날 오전 6시 30분께 초진 완료했다. [사진=연합뉴스]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데이터센터(전산실) 화재로 대국민 행정 서비스 647개가 일제히 마비되면서 이번 화재의 원인인 리튬이온 배터리 발화를 놓고 정부 책임론이 커지고 있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작은 외부 충격에도 실화로 이어질 우려가 큰 만큼 철저한 관리·감독이 필요하지만 정부가 이를 제대로 이행하지 못했다는 주장이다.

27일 배터리 업계에 따르면 이번 화재는 무정전 전원 장치(UPS)용 배터리 이중화를 위한 배터리 이설공사 중에 UPS 전원을 반드시 차단하고 작업을 진행해야 하지만 이를 지키지 않으면서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전원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케이블을 해체하다가 쇼트가 발생하면서 화재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UPS는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교류전원 대신 직류전원을 이용한다. 이 경우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전선을 분리하면 전압이 급격하게 상승하면서 스파크 현상과 함께 절연이 깨질 우려가 크다. 이것이 배터리로 튀면서 불이 났을 것이라는 게 배터리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화재가 일어난 리튬이온 배터리는 지난 2012~2013년 경 LG에너지솔루션이 제작·공급한 제품이다. LG에너지솔루션으로부터 배터리를 공급받은 UPS 업체가 UPS 시스템을 최종적으로 완성해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 납품한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이번 UPS 배터리 이중화 공사는 UPS 업체의 제품 보증 기간(10년)이 종료된 만큼 해당 업체가 직접 하지 않았다. 정부가 별도의 공공 입찰을 통해 전기 공사를 발주해 진행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즉, 배터리 관리 전문가인 LG에너지솔루션이나 UPS 업체가 아닌 다른 업체가 공사를 하다가 화재로 이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아주경제 취재에 따르면 해당 UPS 업체는 올해 6월 안전점검을 통해 배터리 상태가 정상인 것을 확인했다. LG에너지솔루션의 해당 배터리 셀도 화재 이력이 전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배터리셀에서 자연 발화가 일어났을 가능성은 낮은 만큼 LG에너지솔루션과 UPS 업체는 관련 책임으로부터 자유로울 전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