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센터 화재 여파로 보건복지 분야 정보시스템이 28일 오후 8시 기준 여전히 마비 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날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 26일 발생한 화재로 복지부와 소속기관에서 운영하는 대민 행정서비스 접속이 제한되고 있다. 복지부와 소속기관 홈페이지를 비롯해 복지로, e하늘장사정보시스템, 장기조직혈액통합관리시스템(KONOS), 첨단재생의료포털, 연명의료 정보처리시스템, 사회서비스 정보시스템, 휴·폐업 의료기관 진료기록 발급 포털 등 대부분의 서비스가 정상 운영되지 않고 있다.
복지로는 기초생활보장제도, 긴급복지지원, 아동수당, 기초연금, 에너지 바우처 등 각종 복지서비스를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는 웹사이트다. 다만 대부분의 급여는 지난 25일 지급돼 당장 지급 대란이 발생할 가능성은 낮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e하늘장사정보시스템도 접속이 제한돼 화장시설 예약은 개별 화장장에 온라인 또는 유선으로 신청해야 한다. 장기조직혈액통합관리시스템(KONOS)은 장기 기증자와 이식 대기자 간 온라인 매칭이 불가능해졌지만, 복지부는 응급도에 따라 장기 배분과 이식이 이뤄지도록 조치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환자와 보호자의 불안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연명의료 정보처리시스템 마비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조회와 연명의료계획서 작성 정보 취합에도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으며, 복지부는 복구 전까지 수기로 정보를 취합할 계획이다.
진료기록 전송지원시스템도 장애가 발생하고 있으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을 통해 진료기록을 전송할 수 있어 환자에게 실질적 피해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복지부는 의료기관 간 진료 정보 전송 시 진료기록 전송지원시스템 대신 심평원 의뢰회송중계시스템의 진료 의뢰·회송 메뉴를 활용할 것을 안내하고 있다.
응급의료 분야는 큰 차질이 없다는 설명이다. 응급의료 관련 서버는 국정자원 대전센터가 아닌 중앙응급의료센터에서 관리되고 있어 화재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응급의료통계포털과 병의원·약국 비상진료 검색 서비스도 정상 가동되고 있다. 119 신고 후 병원 이송 과정에서도 정부 시스템뿐 아니라 메신저와 유선 전화가 활용돼 응급환자 대응에 큰 문제가 없을 전망이다.
다만 복구에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월요일부터는 민원 폭주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각종 복지서비스 안내와 신청을 수기로 처리해야 해 민원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중앙부처 관계자는 "온라인 시스템으로 진행하던 업무를 전화와 수기로 처리해야 하는 과정에서 불편을 겪는 국민이 늘어 항의도 증가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